스스로를 타이르는 글
주인공아! 나의 말을 들어라. 몇 사람이나 공한 문속에서 득도하였는데 너는 어찌 고취 중에서 길이 윤회하는가. 너는 시작 없는 옛적부터 금생에 이르도록 깨달음을 등지고 티끌에 합하고 우치에 빠져서, 항상 많은 악을 지어서 삼악도 고통의 바퀴에 들어갔으며, 모든 선은 닦지 않아서 사생의 업해에 빠졌느니라. 몸은 육적을 따르는 까닭으로 혹 악취에 떨어져서 지극히 슬프고 지극히 괴로우며, 마음은 일승을 등진까닭으로 혹 사람으로 태어나도 부처님오시기전이거나 부처님 가신 후로구나.
이제 또한 다행이 사람몸 받았으나 바로 불후말세니, 슬프고 슬프도다. 이것이 누구의 허물인가. 그러나 너가 능히 반성하여 애착을 베어버리고 출가하여 발우를 받아 지니고 대가사를 입어서 티끌을 벗어나는 지름길을 밝고 무루의 묘법을 배우면, 마치 용이 물을 얻은 것과 같고 호랑이가 산을 의지한 것(고)과 같으니 그 뛰어나고 묘한 이치를 말로 다할 수 없다.
사람은 예와 지금이 있지만(옛날 사람, 요즘사람) 진리에는 멀고 가까움이 없고(옛날 진리, 요즘진리), 사람은 어리석음과 슬기로움이 있으나 도에는 성함과 쇠함이 없다. 비록 부처님 계신 때라도 부처님말씀을 따르지 않으면 무슨 이익이며, 비록(종) 말세를 만났더라도 부처님 가르침을 받들어 행한다면 무슨 해로움이 있으리오. 그러므로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되 “나는 좋은 의사와 같아서 병을 알고 약을 베푸나니 먹고 먹지 않음은(여?) 의사의 허물이 아니며, 또한 좋은 길잡이와 같아서 사람들을 좋은 길로 이끌어주지만 듣고도 가지 않음은 길잡이의 허물이 아니다. 스스로를 이롭고 남도 이롭게 함은 법에 모두 구족해 있으니, 만약 내가 오래 머물더라도 다시 이로울 바가 없으리라. 이제부터 뒤에는 나의 모든 제자들이 그것을 굴리고 펴서 행하면(차례차례로 이어서 행한다면) 여래법신이 상주하여 멸하지 않을 것이리라 하시니 만약 이와같은 이치를 안다면 다만 스스로 도 닦지 않음을 한탄할지언정 어찌 말세임을 근심하겠는가?(환호 야)
엎드려 바라노니 너는 모름지기 결렬한 뜻을 일으키고 특달한 뜻을 열어서(특히 통달한 뜻) 모든 인연을 다 버리고 뒤바뀐 생각을 제거하며, 진실로 나고 죽는 큰일을 위하여 조사의 공안위에서 마땅히 잘 참구하여 큰 깨달음으로써 법칙을 삼고(큰 깨달음을 목표로 삼고) 부디(절) 스스로 가벼이 여겨 물러서지 말지어다.
오직 이 말운에 성인이 가신지가 오래여서 (성인으로 가는 때가 멀어) 마구니는 강하고 법은 약하고 사람들은 사치가 많아서 사람을 이루어 주는 이는 적고, 사람을 그르치는 이는 많으며, 지혜로운 이는 적고 어리석은 이는 많아서 스스로 도 닦지 않고 또한 다른 사람을 괴롭게 하나니, 무릇 도의 인연에 장애가 있음은 말로 다 할 수 없다. 네가 길을 그르칠까 염려한 까닭으로 내가 좁은 소견으로 열 가지 문을 펴서, 너로 하여금 경책케 하나니 너는 모름지기 믿고 지녀 한 가지라도 가히 어김이 없기를 지극히 빌고 지극히 비노라.
게송으로 이르노라.
1. 그 첫 번째는 부드러운 옷과 맛있는 음식을 부디 받아쓰지 말라.
밭 갈고, 씨 뿌리는 것으로부터(종?) 입과 몸에 이르기 까지 비단(도) 사람과 소의 공력이 많고 무거울 뿐 아니라(비) 또한 벌레(방생)의 손해가 무궁하거늘, 저들의 일을 수고롭게 하여 나를 이롭게 하는 것도 오히려 그렇게는 못할 것인데, 하물며 다른 목숨을 죽여서 이 몸을 살리기를 어찌 참을 수 있겠는가. 농부도 매양 굶주리고 추운 괴로움이 있고, 베짜는 아낙네도 계속 몸을 가릴 옷이 없거늘 하물며 나는 손을 오래 놀리거니 굶주림과 추위를 어찌 마음에 싫어하리오. 부드러운 옷과 맛있는 음식은 마땅히 은혜가 무거워서 도를 덜고 떨어진 옷(파납)과 나물밥은 반드시 시은이 가벼워서 음덕을 쌓는 것이니라. 이번 생에 마음을 밝히지 못하면 한 방울 물도 사용하기(소) 어렵다.
2. 그 두 번째는 자신의 재물을 아끼지 말고(불인) 남의 물건을 구하지 말라.
삼도의 괴로움 위에 탐업이 처음에 있고, 육바라밀의 문중에 보시를 행함이 머리를 차지한다. (단 = dāna 보시) 아끼고 탐함은 좋은 길을 막을 수 있고, 자비 보시는 반드시 나쁜 길을 막으리라(어). 만일(여) 가난한사람이 있어 구걸하러 오거든 비록 궁핍함에 있더라도 아끼지(인석) 마라. 올적에 한물건도 없이 왔고 갈 적에도 빈손으로 가느니라. 자신의 재물도 그리는 마음이 없어야 하는데 남의 물건에 무슨 마음이 있으리오. 만 가지를 가지고도(장) 가지 못하고 오직 몸을 따르는 업만 있으리라. 삼일 닦은 마음은 천년가는 보배요 백년 탐한 재물은 하루아침 티끌이로다.
3. 그 세 번째는 입은 많은 말을 말고 몸은 가볍게 움직이지 말라.
몸을 가볍게 움직이지 않으면 어지러움을 쉬어 선정을 이루고, 입으로 많은 말을 없애면 어리석음을 바꾸어 지혜를 이룬다. 실상은 말을 떠나고 진리는 움직이지 않는다. 입이란 것은 허물(화-근심 허물 불행)의 문이니 반드시 더욱 엄하게 지키고, 몸은 이에 재앙의 뿌리이니 응당 가벼이 움직이지 말지니라. 자주(數삭) 나는 새는 갑자기 벌려놓은 그물의 재앙이 있고, 가벼이 걸어 다니는 짐승은 화살(전)에 상하는 화가 없지 않다. 그러므로 부처님께서 설산에 계시면서 육년을 앉아서 움직이지 않으시고, 달마는 소림에 머물면서 구년을 고요히 말이 없으시니, 뒤에 오는 참선하는 사람이 어찌 옛 자취(고종)를 의지하지 않으리오.
4. 그 네 번째는 무릇 착한 벗을 가까이 하고 삿된 벗을 사귀지(결) 말지어다.
새도 장차 쉬려하면 반드시 그 수풀을 가리고, 사람이 배움을 구함에 스승과 벗을 가릴지니, 숲과 나무를 가리면 그 머무르는 것이 편안하고, 스승과 법을 가리면 그 배움이 높아지니라. 그러므로 착한 벗을 받들어 섬기기가(승사) 부모처럼 하고, 나쁜 벗을 멀리 여의기를 원수 맺은 집처럼 하라. 학은 까마귀와 무리를 이루는 계획이 없으니, 붕새가 어찌 뱁새(초)와 벗하기를 도모하겠는가. 소나무 가운데 뻗친 칡(갈)은 천 길을 곧게 솟아오르고 (직용천심?) 띠풀 가운데 자란 나무는 석자를 벗어나지 못하니, 어질지 않은 소인배는 자주자주 떼어 버리고 (번번탈) 뜻과 덕(득)이 높은 무리는 자주자주 가까이 할지어다.
5. 그 다섯 번째는 삼경을 제한시간 외에는(아홉시~세시) 수면을 허락하지 말라.
아득한 겁에 도의 장애는 수마보다 큰 것이 없나니 하루 24시간 중에(옛날 12시간=오늘날 24시간) 성성하게 의심을 일으켜 흐리지 말며, 사위의(행주좌와) 안에 빽빽이 돌이켜 비추어 자신을 보라. 일생을 헛되이 지내면 만겁에 한이 따르리니, 무상은 찰나라. 이에 날마다 놀랍고 두려우며(이?) 사람목숨은 모름지기 잠깐이라 실로 시시각각을 보증할 수 없다. 조사의 관문을 뚫지 못한다면 어찌(여하) 편안하게 잠자리요.
6. 그 여섯 번째는 절대로 헛되게 스스로를 존대하고 다른 이를 가볍게 여겨 업신여기지(만) 말지어다.
仁을 닦아서 인을 얻음에는 겸손과 사양이 바탕이 되고, 벗을 사귀어 벗과 어울림은 공경과 믿음이 으뜸이 된다. 사상산(인상아상중생상수자상)이 점점 높아지면 삼도바다가 더욱 깊어지나니, 밖으로 나타난 위엄과 거동이 존귀한 듯하면서 안으로 얻을 바가 없으면 썩은 배(사후배)와 같다. 벼슬이 클수록 마음을 작게 하고, 도가 높은 자일수록 뜻이 더욱 낮출지니라. 인아산이 무너지는 곳에 무위의 도가 저절로 이루어지나니. 무릇 하심이 있는 사람은 만 가지 복이 저절로 돌아와 힘이 된다.
7. 그 일곱째는 재물과 여색을 보거든 반드시 정념으로 그것을 대할지어다.
몸을 해치는 기틀은 여색보다 더한 것이 없고, 도를 상하는 뿌리는 돈과 재물에 미칠 것이 없다. 이러한 까닭에 부처님께서 계율을 내려 재색을 엄하게 금하시기를 「여색이 눈에 보이거든(睹, 覩볼도) 호랑이나 뱀을 보듯 하고, 금과 옥이 몸에 닿거든 목석 보듯 하라.」 하셨다. 비록 어두운 방에 머물더라도 큰 손님을 대하듯 하고, 안보거나 보거나 한결같이 하며 안과 밖이 달리하지 말라. 마음이 깨끗하면 선신이 반드시 지켜주고, 색을 그리워하면 모든 하늘이 용납하지 않나니, 선신이 보호하면 비록 험난한 곳에서도 어려움이 없고 제천이 용납하지 않으면 이에 편한 데서도 편안하지 못하니라.
8. 여덟째 세속 사람과 사귀어 남이 미워하고 시기하게 하지 말라.(남의 미움과 시기를 받지 말라).
마음속에 애정을 떠나야 사문이라 말하고, 세속을 그리워하지 않아야 출가라 말한다. 이미(기) 애욕을 끊고 인간세상을 뿌리쳤거니 다시 어찌 어찌 백의와 무리를 맺어 놀겠는가. 세속을 사랑하고 그리워하는 것은 도철이라 하니, 도철은 본디부터 도심이 없다. 인정이 짙으면 도심이 성겨지나니, 인정을 냉정히 물리쳐 영영 돌아보지 말지니라. 출가의 본심(지)을 져버리지(부) 않고자 한다면 마땅히(수) 명산을 찾아 묘한 이치를 궁구하대, 가사 한 벌 발우 하나로 인정을 끊어버리고, 주리고 배부름에 생각 없으면 도가 자연히 높아지니라.
9. 아홉째, 다른 이의 과실을 말하지 말지어다.
비록 선악을 들을지라도 마음에 념의 움직임이 없어야 할지니, 덕이 없는데 칭찬을 입으면 실로 내가 부끄러워하고, 허물이 있어서 헐뜯음을 당하면 진실로 기쁘게 여길지니라. 기쁘게 여기면 허물을 알아 반드시 고칠 것이요, 부끄러워하면 도에 나아감에 게으름이 없느니라. 다른 이의 과실을 말하지 말라. 결국 반드시 자신에게 해롭게 돌아온다. 만약 남을 해롭게 하는 말을 듣거든 부모를 헐뜯는 소리같이 하라. 오늘아침에 비록 다른 사람의 허물을 말하지만, 다른 날에는 머리를 돌려 나의 허물을 논하느니라. 그러나 무릇 상 있는 바가 모든 일이 허망한데 헐뜯고 칭찬함에(기훼찬예) 무엇을 근심하고 무엇을 기뻐하리오.
10. 열째, 대중 가운데 머무르데 마음이 항상 평등할 지어다.
애정을 끊고 부모를 떠난 것은(알릴 사) 법계가 평등함이니 만약 친소가 있으면 평등하지 못하다(필 강조). 비록 다시 출가한들 무슨 덕이 있으리오.(지?) 마음가운데 만약 애증의 취하고 버림이 없으면 신상에 어찌 고락의 성하고 쇠함이 있으리오. 평등한 성품가운데에 나와 남이 없고, 대원경 위에 친소가 끊어진다. 삼도를 출몰함은 애증에 얽힌 바요, 육도를 오르내림은 친소 업이 얽히었기 때문이다. 마음이 평등함과 계합하면 본래 취하고 버림이 없나니, 취하고 버림이 없다면 생사가 어찌 있으리오.
주인공아! 네가 사람의 길을 만난 것이 마땅히 눈먼 거북이가 나무토막을 만난 것과 같거늘, 일생이 얼마나 된다고(기하) 닦지 않고 게으름을 피우는가. 사람 생 얻기 어렵고 불법은 만나기 어렵다. 이번 생에 놓치고 물러나면(실각) 만겁에 만나기 어려우니 모름지기 열 가지 문의 계법을 지녀서, 날로 새로이 부지런히 닦아서 물러나지 말고, 속히 정각을 이루어 돌이켜 중생을 제도할지어다. 나의 본원은 너 혼자 생사의 큰 바다를 나오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또한 이에 널리 중생을 위함이니, 어떠한 까닭인가. 네가 스스로 무시이래로 금생에 이르기 까지 항상 사생을 만나 자주자주 가고 옴이 모두 부모에게 의지하여 나고 죽었음이라. 그러므로 아득한 겁의 부모가 한량없고 끝이 없나니, 이로 보건데(유시관지) 육도중생이 너의 다생부모가 아님이 없다. 이와 같은 온갖 것이 다(함)악취에 빠져 낮과 밤으로 큰 고노를 받나니, 만약 제도하지(증제) 못한다면 어느 때에 벗어나 여의겠는가. 슬프고 애닮 도다. 아픔이 심장과 창자에 얽히는 구나.
천만번 너에게 바라노니, 어서 빨리 큰 지혜를 깨달아 밝혀서(발명) 신통의 힘을 구족하고 방편의 수단을 자재하여 속히 큰 파도에서 지혜로운 노(즙)가 되어, 탐욕의 언덕을 헤메는 무리들을 널리 제도할지어다. 그대는 보지 못했는가. 위로 좇아 모든 부처님과 모든 조사님들이 모두 바로 옛날에 우리와 같은 범부였느니라. 저분들은 이미 장부라 너 또한 그러하니 다만 하지 않은 것이지 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옛 말씀에 도가 사람을 멀리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스스로 멀리한다고 하며 또한 말하기를 내가 어질고자 하면 곧(사) 어짐이 따라온다고 하시니, 진실하도다. 옳은 말씀이여. 신심만 물러서지 않으면 누가 견성성불 못하겠는가. 내 이제 삼보님께 증명하고, 하나하나 너에게 알리노니(계) 그른 줄 알면서 일부러 범하면 살아서 지옥에 빠지리니, 어찌 삼가지 않겠으며, 어찌 삼가지 않겠느냐.
참고자료 :
- – 초발심자경문, 심재열, 보성문화사, 2005
- – 초발심자경문, 지묵, 우리출판사, 2002
- – 초발심자경문, 탄허, 불서보급사, 2002
- – 초발심자경문, 혜공, 운주사, 2004
- – 초발심자경문, 원순, 법공양,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