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0.wp.com/www.arama.kr/wp-content/uploads/2023/12/114785_51234_1558.jpg?w=788&ssl=1)
03 증시랑 천유에게 답하다 ②
答 曾侍郎 天遊 二
[放下情識 參詳禪旨] 又
01
公이 處身富貴호대 而不爲 富貴에 所折困하니 非夙植般若種智면 焉能如是리요. 但恐中忘此意하고 爲利根聰明에 所障하야 以有所得心이 在前頓放故로 不能於古人直截徑要處에 一刀兩段하야 直下休歇하나니, 此病은 非獨賢士大夫라 久參衲子도 亦然하야 多不肯退步하야 就省생力處 做工夫하고, 只以聰明意識計較思量으로 向外馳求하며, 乍聞知識의 向聰明意識思量計較外하야 示以本分草料하야는 多是當面蹉過하고, 將謂從上古德이 有實法與人이라하나니 如趙州放下著과 雲門須彌山之類 – 是也라하니라.
02
巖頭 曰 “却物이 爲上이요 逐物이 爲下라”하며, 又曰 “大統綱宗은 要須識句니 甚麽是句오 百不思時를 喚作正句라하며, 亦云 居頂이라하며 亦云得住라하며 亦云歷歷이라하며 亦云惺惺이라하며 亦云恁麽時라”하나니, 將恁麽時하야 等破一切是非니 纔恁麽면 便不恁麽라 是句도 亦剗이며 非句도 亦剗이니 如一團火相似하야 觸著便燒라. 有甚麽向傍處리요.
今時士大夫 – 多以思量計較로 爲窟宅하야 聞恁麽說話하면, 便道호대 “莫落空否아”하나니 喩似舟未翻에 先自跳下水去라 此는 深可憐愍이로다.
03
近至江西하야 見呂居仁호니 居仁이 留心此段因緣이 甚久호대 亦深有此病이라. 渠豈不是聰明이리오만은 某嘗問之曰하되 “公이 怕落空하니 能知怕者는 是空耶아 不空耶아 試道看하라.” 渠佇思하야 欲計較祗對어늘, 當時에 便與一喝호니 至今茫然하야 討巴鼻不着이로다. 此蓋以求悟證之心이 在前 頓放하야 自作障難이요 非干別事니라.
04
公은 試如此做工夫하야 日久月深하면 自然築着磕着이어니와 若欲將心待悟하며 將心待休歇인댄 從脚下參하야 到彌勒下生이라도 亦不能得悟이며 亦不能得休歇하고 轉加迷悶耳이니라.
05
平田和尙 曰 “神光이 不昧하야 萬古徽猷니, 入此門來인댄 莫存知解라”하며, 又古德이 曰 “此事는 不可以有心求며 不可以無心得이며 不可以語言造며 不可以寂黙通이라”하니, 此是第一等 入泥入水인 老婆說話어늘 往往에 參禪人이 只恁麽念過하고 殊不子細看 是甚道理오하나니,
07
不見가 昔日에 灌谿和尙이 初參臨濟할새, 濟見來코 便下繩床하야 驀胸擒住한댄, 灌谿- 便云 “領領”커이다, 濟- 知其已徹하고 卽便推出하야 更無言句로 與之商量하니, 當恁麽時하야 灌谿- 如何思量計較로 祗待得이리요? 古來에 幸有 如此牓樣이어늘 如今人은 總不將爲事하고 只爲麤心이로다.
08
灌谿- 當初에 若有一點이나 待悟待證 待休歇底心이 在前이런들 時에 莫道被擒住 便悟하리라. 便是縛却手脚하고 遶四天下하야 拕一遭라도 也不能得悟하며 也不能得休歇하리라.
09
尋常에 計較安排底도 是識情이며 隨生死 遷流底도 亦是識情이며 怕怖慞惶底도 亦是識情이어늘, 而今參學之人은 不知是病하고 只管在裏許하야 頭出頭沒하나니, 敎中에 所謂 “隨識而行不隨智라” 以故로 昧却 本地風光 本來面目하나니, 若或 一時나 放得下하야 百不思量計較하면 忽然失脚하야 蹋着鼻孔하리니, 卽此識情이 便是眞空妙智라 更無別智可得이어니와, 若別有所得하며 別有所證이면 則又却不是也리라. 如人이 迷時에 喚東作西라가 及至悟時하야는 卽西便是東이라 無別有東이니라.
10
此眞空妙智 – 與太虛空으로 齊壽하니 只遮太虛空中에 還有一物이 礙得佗否아. 雖不受一物礙나 而不妨諸物이 於空中往來하나니, 此眞空妙智도 亦然하야 生死凡聖垢染이 着一點不得이니, 雖着不得이나 而不礙生死凡聖이 於中往來라. 如此信得及 見得徹하며 方是箇出生入死에 得大自在底漢이라. 始與趙州放下着과 雲門須彌山으로 有少分相應이어니와, 若信不及放不下인댄 却請擔取 一座須彌山하야 到處行脚하야 遇明眼人하야 分明擧似하라. 一笑하노라.
증시랑 천유에게 답하다 ②
식정을 내려놓고, 선의 종지를 면밀히 참구하라
01
그대가 육신은 부귀에 있으면서도 부귀를 위한다고 공부하는 마음이 꺾이거나 부족하지 않으니, 일찍이 반야지혜를 심지 않았다면 어찌 이와 같았겠습니까?
다만 걱정되는 것은 중도에 이러한 의지를 잊어버리거나, 예리한 근기와 총명함이 장애되고, 얻은 것이 있다고 목전에서 놓아버리고, 그 때문에 고인이 바로 내어주신 지름길에서도 일도양단 하여 바로 쉬지 못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병통은 뛰어난 사대부 뿐만 아니라 오래 공부한 구참 수행자들도 그러하여서, 생력처에 나아가 공부를 이어나가기를 기꺼워 하지는 않고 물러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그저 총명한 의식으로 사량계교하며 밖을 향해서만 내달려 구하고 있습니다.
잠깐이라도 선지식이 총명한 의식으로 사량계교 밖에서 보이는 본분사를 위한 양식같은 가르침을 잠깐 듣고서는 대부분이 어긋나거나 지나치는 것을 보게됩니다. 예로부터 선사들이 사람들에게 전하는 법이 실재한다고 잘못 생각하기도 하는데, 조주 선사의 방하착이나 운문 선사이 수미산과 같은 것들이 그렇습니다.
02
암두 전활 선사가 말했습니다.
“경계를 물리치는 것이 상근기이며, 경계를 따라가는 것이 하근기이다.”
또 말하였습니다.
“대강의 종지는 한마디를 반드시 알아야 하니, 그 한마디가 무엇인가? 그 무엇도 생각하지 못하는 [꽉막힌] 때를 바로 그 한마디라 부른다. 정수리에 머문다고도 하고, 마음 둘곳을 얻었다고도 하며, 역력하다고도 성성하다고도 하며, 시절인연[恁麽時]이라고도 한다.”
시절인연이 도래하면, 일체 시비 분별을 깨부수는 것과 같습니다. 시절인연이 열리자마자 바로 시절인연은 아니라서 이 한마디도 남아있고, 한마디 아닌 것도 남아있는 것이 마치 한덩어리 불과 같습니다. 닿는 순간 모든 것을 태워버리는데, 한 물건 어딘가로 향하고 있습니다.
오늘날 사대부들은 다분이 사량계교를 토굴로 여겨서 한 물건의 이야기를 듣고 말들합니다.
“공에 떨어지는 것이 아닙니까?”
배가 뒤집히지도 않았는데, 먼저 물로 뛰어드는 것과 같으니, 이것은 몹시 가련한 일입니다.03
얼마전에 강서에 가서 여거인을 만났습니다. 거인은 이 일대사인연에 마음을 둔지 매우 오래되었는데, [이렇게 공에 떨어지거나 사서 걱정하는] 병통이 매우 깊었습니다. 그 분이 총명하지 않아서이겠습니까? 내가 일찍이 물어본 적이 있습니다.
“여 거사님이 공에 떨어질 것을 두려워하시니, 두려움을 아는 그놈은 ‘공’이겠습니까 ‘공’이 아니겠습니까? 한번 말해 보십시오.”
여거인이 우두커니 생각하더니 헤아리고 따지다 겨우 대답하려했습니다. 그때 대번에 ‘악!’하는 고함 한번 질러주었더니 지금까지도 아득히 채 그놈을[巴鼻] 비 : 사람이 태어날 때 콧구멍부터 생겨난다. 그래서 태어나는 생의 근본자리를 비유한다. 또한 소를 끌기 위해 코뚜레를 뚫기에 코는 손잡이를 가리키기도 한다. 마음의 소를 끌고가는 일종의 단서이다.
을 못 찾고 있습니다. 이것은 아마도 깨달음을 구하는 마음이 앞에 펼쳐져 있어서 스스로 장애와 어려움을 만드는 것이지 다른 일이 간여한 것이 아닙니다.
04
공도 이와 같이 살피면서 공부를 지어가며, 날이 가고 달이 가다보면 자연히 축착합착 축착합착 築着磕着
딱 맞아 떨어질 것입니다. 만약 깨달음을 기다리는 마음이나 영원히 쉴 수 있는 마음을 내려한다면, 지금 당장 참구하여 미륵불이 하생하는 날까지 하더라도 깨달을 수도 없고, 쉴 수도 없을 것입니다. 도리어 미욱함만 더할 뿐입니다.
05
평전보안 선사가 말씀하셨습니다.
“신령한 광명은 어둡지 않아 만고에도 빛나는 도리이니, 이 선문에 들어와서 알음알이를 두지 말라.”
또한 옛 어른이 말씀하셨습니다.
“이 일은 마음을 가지고 구할 수 없고, 마음 없이 구할 수도 없다. 언어로 지을 수도 없고, 침묵으로 통할 수가 없다.”
이런 말씀이야말로 진창에 들어가 흙탕물을 뒤집어 써가면서 하신 노파심의 간절한 말씀이건만, 참선하는 사람들이 때로는 그런가 한번 생각하고는 지나쳐버리고는 이것이 무슨 도리인지 자세히 살피지도 않습니다.
06
만약 근골을 가진 자라면, 들어 보인 것을 언뜻 듣고서도 바로 그 자리에서 금강왕보검을 가지고 한 칼에 이 네 갈래로 뒤엉킨 것 사로갈등四路葛藤
을 끊어버릴 것입니다. 그러면 생사의 길머리도 끊어지고, 범부와 성인의 길머리도 끊어지고, 사량 계교도 끊어지고, 시비나 득실도 끊어질 것입니다.
당사자의 발아래에서 깨끗하게 발가벗겨지고 붉게 씻겨내려서 잡을 수 있는 것도 없어질 것입니다. 어찌 통쾌하지 않겠습니까? 어찌 속시원하지 않겠습니까?
07
보지 못했습니까? 예전에 관계화상이 처음 임제의현 선사를 참배하였는데, 임제선사는 관계화상이 오는 것을 보고는 의자에서 내려와 돌연 멱살을 움켜잡았습니다. 관계화상이 바로 말했습니다. “알았습니다. 알았습니다.”
임제 선사는 관계화상이 이미 확철한 것을 알고는 곧바로 밀어젖히고는 더 이상 그와 언구로 상량하지 않았습니다.
그 당시에 관계화상이 어떻게 사량계교하기를 기다리겠는가? 예부터 다행히도 이같은 본보기가 있었는데, 요즘 사람들은 전혀 일대사를 해결하려 하지는 않고 머트러운 마음만 내고 있습니다.
08
관계화상이 애초에 한점이라도 깨닫기를 기다리거나 크게 쉬어버리기를 기다리는 마음이 앞에 있었다면, 당시 멱살잡히면서 바로 깨달음을 말하지 못했을 것입니다. 이것은 바로 손발이 묶인 채로 사천하를 돌면서 한 바퀴 끌고다닌다고 깨달을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쉴 수 있는 것도 아닙니다.
09
보통 계교하여 안배하는 것이 식정(의식과 감정)이며, 생사를 따라 옮겨다니는 것도 바로 식정이며, 두려워 허둥대는 것도 역시 식정이다. 그런데도 오늘날 참선을 배우는 사람들은 이러한 병통은 모르고서 그저 그 속에만 앉아서 허우적대고 있습니다.
[화엄경] 교설에서 “식을 따라서 행하고 지혜는 따르지 않는다”라고 하였으니, 이 때문에 본지풍광의 본래면목에서 어둡게 된 것입니다. 만약 일시에 내려놓아 사량계교 하지 않는다면, 홀연 발을 헛디뎌 콧구멍을 밟을 것입니다. 그러면 이 식정이란 것도 바로 진공묘유이니, 따로 증득할 수 있는 지혜도 없습니다. 만약 얻을 것이 따로 있고 깨달을 것이 따로 있다면, 도리어 옳지 않은 것입니다. 어떤 사람이 어리석을때는 동쪽을 일컫어 서쪽이라고 하다가 깨달을 때에 서쪽이 그대로 동쪽이니, 별도의 동쪽이 없는것과 같습니다.
10
이러한 진공의 묘한 지혜는 크나큰 허공과 수명을 나란히 합니다. 다만 저 크나큰 허공 가운데에 어느 한 물건이라도 허공을 장애할 수 있겠습니까? 비록 한 물건도 가로막는 것을 받아들이지 않으면서도 허공 속을 오가는 온갖 것을 꺼리지도 않습니다.
이 진공의 묘한 지혜도 역시 그러하여 생과 사, 범부와 성현의 얼룩이 한 점도 생길 수 없습니다. 비록 얼룩이 생길 수 없어도 생과사 범부와 성인이 진공의 묘한 지혜속을 오가는 것을 장애하지도 않습니다.
이와같은 믿음을 얻고 보아 확철하면, 바야흐로 이것이 삶에서 벗어나 죽음에 들어가는 대자유를 얻은 사람이며, 비로소 조주선사의 방하착과 운문선사의 수미산에서 조금이라도 상응함이 있을 것입니다. 믿음이 부족하고 내려놓지 못한다면, 자! 도리어 수미산 하나를 짊어지고 도처로 행각하다가 눈밝은 사람을 만나거든 분명하게 들어 보이십시오. 하.하.하.
1개의 댓글
Hey! Do you know if they make any plugins to assist with Search Engine Optimization? I’m trying to get
my website to rank for some targeted keywords
but I’m not seeing very good gains. If you know of any please
share. Thank you! I saw similar art here: Blank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