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비달마구사론
■■ 서 설 ■■
⑴ 서분(序分) ― 귀경게(歸敬偈)
⑵ 아비달마[對法]의 본질
⑶ 아비달마코샤[對法藏]의 의미
⑷ 아비달마의 목적과 설자(說者)
■■ 제1편 계품(界品)
Ⅰ. 제법의 분별① ― 유루와 무루, 유위와 무위 1. 유루법과 유루의 의미 2. 무루법과 무루의 의미 ⑴ 무루법의 종류 ⑵ 특히 3무위법에 대하여 ① 허공(虛空) ② 택멸(擇滅) ③ 비택멸(非擇滅) 3. 유위법과 그 이명(異名) 4. 유루의 이명 Ⅱ. 제법의 분별② ― 5온(蘊)·12처(處)·18계(界) 1. 색온(色蘊) 총론 ⑴ 5근(根) ⑵ 5경(境) ⑶ 5식(識)과 5경의 인식관계 ⑷ 무표색(無表色) ⑸ 4대종(大種) ① 가(假)의 4대와 실(實)의 4대 ⑹ 색(色)의 의미 ⑺ 10처와 10계의 건립 2. 수온(受蘊)·상온(想蘊)·행온(行蘊)과 법처(法處)·계(界) 3. 식온(識薀)과 의처(意處)와 7식계(識界) 4. 특히 의계(意界)에 대하여 5. 18계의 성립이유 Ⅲ. 온·처·계의 3과(科)의 분별 1. 일체법과 3과의 상호 포섭관계 2. 18계의 조건 ― 안·이·비처는 왜 각기 2계가 아닌가 3. 3과의 명의(名義)와 가실론(假實論) 4. 3과 건립의 이유 5. 수(受)와 상(想) 만을 별도의 온으로 건립한 이유 6. 5온과 무위법 7. 5온의 순서 8. 6근(6경·6식)의 순서 Ⅳ. 3과 분별에 따른 그 밖의 문제들 1. 색처(色處)와 법처(法處) 2. 교법(敎法,즉 법온)과 5온과의 포섭관계 3. 8만 4천 법온의 양에 대하여 4. 그 밖의 다른 온·처·계와 3과의 포섭관계 5. 6계 중의 공계(空界)와 식계(識界)에 대하여 Ⅴ. 18계 법의 제문분별(諸門分別) 1. 유견(有見)·무견(無見), 유대(有對)·무대(無對) 분별 2. 선·불선·무기의 3성(性) 분별 3. 3계와의 계속(繫屬)관계 분별 4. 유루·무루 분별 5. 유심유사(有尋有伺) 등의 분별 ⑴ 5식신(識身)의 무분별의 문제 6. 유소연(有所緣)·무소연, 유집수(有執受)·무집수 분별 7. 대종·대종소조, 극미(極微)의 가적집(可積集)·비적집(非積集) 분별 8. 능절(能折)·소절(所折), 능소(能燒)·소소(所燒), 능칭(能稱)·소칭(所稱) 분별 9. 이숙생(異熟生)·소장양(所長養)·등류성(等流性)·유실사(有實事)·일찰나(一刹那)의 분별 10. 득(得)·성취(成就) 분별 11. 내(內)·외(外) 분별 12. 동분(同分)·피동분(彼同分) 분별 13. 견소단(見所斷)·수소단(修所斷)·비소단(非所斷)의 3단(斷) 분별 14. 견(見)·비견(非見) 분별 ⑴ 근견(根見)과 식견(識見) ⓐ 일안견(一眼見)과 이안견(二眼見) ⓑ 근과 경의 접촉·불접촉의 문제 ⓒ 근과 경의 양적 관계 ⓓ 5근의 극미 배열 ⓔ 6식과 6근의 시간적 관계 ⓕ 근 만이 식의 소의가 되는 이유 ⓖ 식의 명칭이 근에 따라 설정된 이유 ⓗ 근·경·식과 소의신의 3계 9지(地)에 따른 관계 15. 능식(能識)·소식(所識), 상(常)·무상(無常), 근(根)·비근(非根) 분별
■■ 제2편 근품(根品) ■■
Ⅰ. 근(根)
1. 근의 본질과 작용
⑴ 식견가의 이설(異說)
2. 근의 설정 조건
⑴ 식견가의 이설
3 제근(諸根)의 설명
Ⅱ. 22근의 제문분별 1. 유루·무루 분별 2. 이숙·비이숙 분별 ⓐ 유다수행(留多壽行)과 사다수행(捨多壽行) 3. 유이숙(有異熟)·무이숙(無異熟) 분별 4. 선·불선·무기의 분별 5. 3계계(界繫) 분별 6. 견·수·비소단 분별 Ⅲ. 22근의 획득과 성취 1. 3계 초생(初生) 시 처음으로 획득하는 이숙근의 수(數) 2. 3계 명종시에 최후로 멸하는 근의 수 3. 사문과(沙門果)를 획득하게 하는 근의 수 4. 22근 상호간의 성취·불성취의 관계 5. 최소한과 최대한으로 성취되는 근의 수 Ⅳ. 유위제법의 구생론(俱生論) 1. 5위(位)의 제법 2. 색법의 구생관계 3. 심(心)·심소(心所)·불상응행법(不相應行法)의 구생관계 Ⅴ. 심소법이란 무엇인가? 1. 총론 2. 대지법(大地法) 3. 대선지법(大善地法) 4. 대번뇌지법(大煩惱地法) 5. 대불선지법(大不善地法) 6. 소번뇌지법(小煩惱地法) 7. 심소법의 구생관계 ⑴ 욕계 제 심소의 구생관계 ⑵ 색·무색계 제 심소의 구생관계 8. 서로 유사한 심소법의 분별 ⑴ 무참(無慚)과 무괴(無愧)의 분별 ⑵ 애(愛)와 경(敬)의 차별 ⑶ 심(尋)과 사(伺)의 차별 ⑷ 만(慢)과 교(憍)의 차별 9. 심·심소법의 이명(異名)과 5의평등(義平等) Ⅵ. 불상응행법이란 무엇인가? 1. 총론 2. 득(得)과 비득(非得) ⑴ 경량부의 비판과 종자상속의 전변과 차별 ⑵ 득의 제문분별 ⑶ 삼세의 제법과 삼세의 득 ⑷ 비득의 제문분별 ⓐ 이생성(異生性)에 대하여 3. 동분(同分) 4. 무상과(無想果) 5. 무상정(無想定) 6. 멸진정(滅盡定) ⑴ 무상정과 멸진정의 같은 점과 다른 점 7. 명근(命根) ⓐ 목숨과 죽음의 관계 ⓑ 목숨은 상속신에 따라 머무는 것인가, 한 주기로 머무는 것인가 8. 생(生)·주(住)·이(異)·멸(滅)의 유위4상(相) ⑴ 4본상(本相) ⑵ 4수상(隨相) 9. 명(名)·구(句)·문신(文身) 10. 불상응행법의 제문분별 Ⅶ. 제법의 인과론① 1. 6인론(因論) ⑴ 총설 ⑵ 능작인(能作因) ⑶ 구유인(俱有因) ① 심수전법(心隨轉法)이란 무엇인가? ⑷ 동류인(同類因) ⑸ 상응인(相應因) ⑹ 변행인(遍行因) ⑺ 이숙인(異熟因) ⑻ 6인과 삼세의 관계 2. 5과론(果論) ⑴ 총설 ⑵ 택멸무위와 6인·5과의 관계 ⑶ 택멸에 대한 유부와 경량부의 가실(假實)논쟁 ⑷ 6인과 5과의 관계 ⑸ 이숙과(異熟果) ⑹ 등류과(等流果) ⑺ 이계과(離繫果)와 사용과(士用果) ⑻ 증상과(增上果) 3. 6인의 취과(取果)와 여과(與果) 4. 이사(異師)의 9과(果)설 5. 제법과 6인의 관계 Ⅷ. 제법의 인과론② 1. 4연론(緣論) ⑴ 인연(因緣) ⑵ 등무간연(等無間緣) ⑶ 소연연(所緣緣) ⑷ 증상연(增上緣) 2. 4연의 작용 3. 제법의 연생(緣生)관계 ⑴ 외도의 1인(因, 자재천) 생론 비판 4. 특히 대종과 소조색의 상호 연생관계 5. 등무간연으로서 심·심소법의 상생(相生)관계 ⑴ 3계 12심(心) ⑵ 12심의 상생관계 ⑶ 3계 20심과 그 상생관계 6. 12심에 따라 획득되는 마음의 수(數)
■■ 제3편 세간품(世間品) ■■
Ⅰ. 유정세간과 기세간(器世間) 1. 3계(界) ⑴ 욕계 ⑵ 색계 ⑶ 무색계 ⑷ 3계의 명의(名義) ⑸ 3계의 수(數) ⑹ 3계의 존재형태 2. 5취(趣) 3. 7식주(識住) 4. 9유정거(有情居) 5. 4식주(識住) Ⅱ. 유정의 종류와 그 전생(轉生) 1. 4생(生) 2. 중유(中有) 3. 중유의 가실(假實) 논쟁 4. 중유의 형상과 4유(有) 5. 중유의 여러 특징 ― 9문(門)분별 6. 중유의 4종 입태(入胎) 7. 무아와 윤회상속 ⑴ 태내(胎內) 5위 Ⅲ. 12연기(緣起)에 따른 윤회전생 1. 12지(支)의 3세(혹은 2세) 양중(兩重)의 인과 2. 12지의 본질 3. 연기에 대한 네 가지 해석과 분위연기(分位緣起) 4. 12연기를 오직 유정에만 적용시킨 이유 5. 3세양중의 인과의 조직 ⑴ 혹(惑)·업(業)·사(事)의 분별 ⑵ 혹·업·사의 상생관계 6. 연기법과 연이생법(緣已生法) ⑴ 연기의 어의(語義) 7. 세친의 12연기관 8. 특히 무명(無明)에 대하여 ⑴ 무명의 가실(假實) 논쟁 9. 명색(名色)에 대하여 10. 촉(觸)에 대하여 ⑴ 6촉과 '촉'의 가실(假實) 논쟁 ⑵ 유대촉(有對觸)과 증어촉(增語觸) ⑶ 8촉과 3촉 11. 수(受)에 대하여 ⑴ 6수와 신(身)·심수(心受) ⓐ '촉'과 '수'의 시간적 관계에 대한 논쟁 ⑵ 심수 ― 18의근행(意近行) ⑶ 18의근행의 계계(界繫)분별과 그 소연 ⑷ 18의근행의 유루·무루, 성취·불성취 등에 대한 분별 12. 그 밖의 다른 지(支)에 대해 설하지 않는 이유 13. 비유(譬喩)에 의한 혹·업·사의 관계 14. 4유(有)의 염·불염과 3계에서의 존재유무 Ⅳ. 유정의 지속·사멸과 세 가지 결정적 부류[定聚] 1. 유정의 지속[4有]과 4식(食) ⓐ 중유의 다섯 이명(異名) 2. 유정이 사멸할 때의 의식 등에 대하여 3. 생기·지속·사멸하는 유정의 세 가지 부류 Ⅴ. 기세간(器世間)의 구조 및 유정의 크기와 수명 1. 3계의 근본인 3륜(輪) 2. 9산(山) 3. 8해(海) 4. 4대주(大洲) ⑴ 8중주(中洲) 5. 남섬부주(南贍部洲)의 산하 6. 날락가(捺落迦,지옥) ⑴ 8열지옥(熱地獄) ⑵ 8날락가의 16증(增) ⑶ 옥졸에 대하여 ⑷ 8한지옥(寒地獄)과 고지옥(孤地獄) 7. 방생과 아귀의 주처(住處) 8. 해와 달 ⑴ 낮과 밤의 길이의 변화 9. 제천(諸天)과 그 유정 ⑴ 지거천(地居天) ① 묘고산(妙高山)의 4층급 ― 4대왕중천(大王中天) ② 삼십삼천(三十三天) ⑵ 4공거천(空居天) ⑶ 6욕천(欲天)의 행음상(行相) ⑷ 갖 태어난 천중(天衆)의 크기와 언어 ⑸ 욕생(欲生)과 낙생(樂生) ⑹ 각 천(天) 사이의 거리 ① 하천(下天) 유정의 상승 ⑺ 온갖 천궁(天宮)의 너비 ① 3천 대천세계 10. 유정의 신체적 크기 11. 유정의 수명의 길이 ① 선취 유정의 수명 ② 악취 유정의 수명 ③ 중간의 요절 Ⅵ. 공간과 시간의 단위 및 세계의 주기 1. 공간(色)과 시간의 단위 ⑴ 공간과 시간과 말의 극소단위 ⑵ 공간 즉 길이의 단위 ⑶ 시간의 단위 2. 성(成)·주(住)·괴(壞)·공(空)의 4겁 ⑴ 괴겁(壞劫) ⑵ 성겁(成劫) ⑶ 주겁(住劫) ⑷ 겁의 본질 ⓐ 수(數)의 단위 ― 60수 ⓑ 보살이 불과(佛果)를 획득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는 까닭 ⓒ 부처와 독각이 출현하는 시기 ⓓ 전륜왕이 출현하는 시기와 종류 ⓔ 시방세계의 일불설(一佛說)과 다불설(多佛說) 3. 겁초(劫初)의 유정과 국왕의 옹립 4. 겁이 감소할 때의 크고 작은 세 재앙 ⑴ 소삼재(小三災) ⑵ 대삼재(大三災) ⓐ 극미의 파괴와 관련된 유부와 승론(勝論)의 논쟁
■■ 제4편 업품(業品) ■■
Ⅰ. 업 1. 총설 ― 업의 본질과 종류 2. 신업(身業)과 어업(語業)의 본질 3. 신·어의 표업 ⑴ 신표업의 본질과 정량부의 '행동설' 비판 ⑵ 경량부의 형색(形色) 비실재론 ⑶ 경량부에 있어 신표업의 본질 ⑷ 비바사사의 신·어의 표업의 본질 4. 무표업 ⑴ 서설 ― 경량부의 무표업 비판 ⑵ 유부의 무표업 실유의 논증 ⑶ 경량부의 유부논증 비판 5. 업과 대종 ⑴ 표업과 무표업의 근거로서의 대종 ⑵ 무표업과 대종의 전후관계 ⑶ 표업과 대종의 계지(繫地)관계 6. 무표업과 표업의 존재유형과 대종 ⓐ 무표업과 표업의 3성(性)·계지분별 ⓑ 3성의 근거가 되는 4종의 선·불선과 2종의 무기 ⓒ 표·무표업을 낳는 두 가지 등기심 Ⅱ. 세 가지 무표업 ― 율의·불율의·비율의비불율의 1. 율의(律儀) ⑴ 세 종류의 율의 ⑵ 별해탈율의(別解脫律儀) ⑶ 근사(近事)·근주(近住)·근책(勤策)·필추(苾芻)율의 ⑷ 별해탈율의의 이명(異名) ⑸ 율의를 성취하는 자 ⓐ 단율의(斷律儀) ― 정려율의와 도생율의 ⓑ 의(意)율의와 근(根)율의 2. 표·무표업의 율의와 불율의의 성취 ⑴ 무표업의 율의와 불율의 성취 ⑵ 비이(非二)율의의 성취 ⑶ 율의·불율의를 획득한 자의 악·선 무표의 성취 관계 ⑷ 표업의 율의와 불율의의 성취 ⑸ 불율의의 이명(異名) ⑹ 표업과 무표업의 성취관계 3. 세 종류 율의의 획득 조건 4. 계(戒)의 존속기한 ⑴ 별해탈율의의 수지(受持) 기한 ⑵ 불율의의 수지 기한 5. 근주율의(近住律儀) ⑴ 근주율의의 수지 방식 ⑵ 8계(戒)를 수지하는 이유 ⑶ 근주계를 받는 이의 자격 6. 근사(近事)와 근사율의 ⑴ 삼귀의(三歸依)와 근사 ⑵ 근사율의가 일어나는 시기 ① 5계 정구설(定具說)과 분수설(分受說)의 논쟁 ⑶ 율의의 상·중·하품의 근거 ⑷ 삼귀의의 본질과 작용 ⑸ 근사율의와 욕사행(欲邪行) ⑹ 근사율의와 허광어(虛狂語) ⑺ 근사율의와 음주(飮酒) ― 성죄(性罪)와 차죄(遮罪) Ⅲ. 율의와 불율의의 획득과 버림 1. 율의와 불율의의 획득 ⑴ 세 가지 율의의 획득 방법 ⑵ 율의의 획득범위와 동기 ⑶ 불율의의 획득방법 ⑷ 불율의의 획득에 관한 경량부와 비바사사의 논쟁 ⑸ 불율의와 처중(處中)을 획득하게 되는 조건 2. 율의와 불율의의 버림 ⑴ 별해탈율의의 버림 ① 4바라이법에 의한 사계(捨戒)에 대한 논쟁 ⑵ 정려율의와 무루율의의 버림 ⑶ 불율의의 버림 ⑷ 처중무표의 버림 ⑸ 비색(非色)의 선법과 염오법의 버림 3. 선·악율의를 성취하는 유정 Ⅳ. 경(經)에서 설해진 온갖 업 1. 선·악·무기의 3업 2. 복·비복·부동(不動)의 3업 3. 순락수업(順樂受業) 등의 3업 4. 정(定)·부정업(不定業)과 이에 따른 4업·5업·8업설 5. 특히 4업설에 기초한 여러 업론 ⑴ 4업의 동시조작과 인업(引業) ⑵ 3계 5취에서의 4업의 조작 ⑶ 욕계 중유에서의 업(순현법수업)의 조작 ⑷ 정업 즉 정수업(定受業)의 특징 ⑸ 순현법수업의 특징 ① 순현법수업의 대상이 되는 공덕의 복전 6. 심수업(心受業)과 신수업(身受業) ⑴ 마음의 발광[心狂] 7. 곡(曲)·예(穢)·탁(濁)의 3업 8. 흑흑(黑黑)·백백(白白) 등의 4업 ⑴ 흑흑·백백·흑백·비흑비백의 업 ⑵ 무루업(비흑비백업)과 앞의 세 업의 관계 ⑶ 흑흑 등의 4업에 대한 이설(異說) 9. 3모니업(牟尼業)과 3청정업(淸淨業) 10. 3악행(惡行)과 3묘행(妙行) Ⅴ. 특히 10업도(業道)에 대하여 1. 선·악의 10업도와 묘·악행의 관계 2. 10업도와 표·무표업 3. 10업도의 가행(加行)·후기(後起)와 표·무표업 4. 업도의 가행과 근본과 후기에 대하여 ⑴ 가행·근본·후기의 의미 ⑵ 살생업도가 성취되는 때에 대한 논쟁 ⑶ 10업도 상호간의 가행과 후기의 성취 5. 선·불선근과 업도의 가행과 성취 ⑴ 불선업도의 가행으로서의 불선근 ⑵ 선업도의 가행으로서의 선근 ⑶ 불선근과 악업도의 구경·성취 6. 악업도의 대상 7. 특히 살생업도와 죄의 획득에 대하여 ⑴ 죽이는 자가 죽인 자와 동시 혹은 먼저 죽는 경우 ⑵ 죽이는 자가 다수인 경우 8. 업도의 성취조건 ⑴ 살생업도의 성취조건 ① 찰나멸의 온에 대한 살생의 성취문제 ② 명근의 주체 ③ 이계자(離繫者,자이나교)의 결과론 비판 ⑵ 불여취(不與取)의 성취조건 ⑶ 욕사행(欲邪行)의 성취조건 ⑷ 허광어(虛狂語)의 성취조건 ⓐ 견(見)·문(聞)·각(覺)·지(知)에 대한 논쟁 ⑸ 이간어(離間語)·추악어(麤惡語)·잡예어(雜穢語)의 성취 조건 ⑹ 탐·진·사견의 성취조건 9. 업도(業道)의 명의(名義) 10. 단선근(斷善根)과 업도 ① 속선근(續善根)에 대하여 11. 업도와 사(思)심소의 구전(俱轉)관계 12. 3계 5취에서의 업도의 성취와 현행 13. 업도에 의해 획득되는 과보 ⓐ 사명(邪命)을 사어(邪語)·사업(邪業)과는 별도로 설한 이유 Ⅵ. 업과 그 과보 1. 유·무루업과 5과(果) 2. 3성(선·악·무기)의 업과 3성법의 인과관계 3. 3세의 업과 3세법의 인과관계 4. 제지(諸地)의 업과 제지법의 인과관계 5. 3학(學)의 업과 3학법의 인과관계 6. 3단(斷)의 업과 3단법의 인과관계 Ⅶ. 아비달마(本論)에서 설해진 온갖 업 1. 마땅히 지어서는 안 되는 업 등의 3업 2. 인업(引業)과 만업(滿業) ⑴ 인업과 만업 ⑵ 유루법과 인기와 원만 3. 업·번뇌·이숙의 3장(障) ⑴ 3장의 본질과 작용 ⑵ 3장이 일어나는 처소 Ⅷ. 특히 업장(業障)에 대하여 1. 5무간업(無間業)의 본질 ⓐ 승가의 파괴[破僧] ⓑ 승가를 파괴하는 자가 성취하는 죄 ⓒ 승가의 파괴에 관한 여러 사정 ⓓ 승가가 파괴되는 최소한의 인원과 처소 ⓔ 법륜승(法輪僧)이 파괴되지 않는 시기 2. 무간업이 역죄(逆罪)가 되는 이유 3. 역죄의 가행은 바꿀 수 없다 4. 가장 무거운 죄와 가장 큰 과보를 초래하는 세간의 선업 5. 무간업과 동류의 업 6. 세 시기에 장애가 되는 업 Ⅸ. 보살과 그가 닦는 업 1. 보살의 결정적인 특상(住定位) 2. 보살이 닦는 묘상(妙相)의 업 3. 석가보살이 공양한 부처의 수와 친견한 부처 4. 석가보살의 6바라밀다 수행 Ⅹ. 시류(施類)·계류(戒類)·수류(修類) 세 가지 복업사(福業事) 1. 복업사의 정의와 세 가지의 본질 2. 시류의 복업사 ⑴ 보시와 그 과보 ⑵ 보시의 목적 ⑶ 보시의 과보가 다른 이유 ① 시주(施主)에 의한 차별 ② 시물(施物)에 의한 차별 ③ 보시를 받는 복전(福田)에 의한 차별 ⑷ 최상의 보시 ⑸ 무량의 과보를 획득하게 되는 이생(異生)의 복전 ⑹ 업의 경중(輕重) ① 6인(因)에 의한 경중 ② 조작업(造作業)과 증장업(增長業) ⑺ 제다(提多)에 보시할 때의 복 ⑻ 보시에 의한 복의 성격은 마음에 따른다 3. 계류복업사 4. 수류복업사 5. 계류·수류복업사의 과보 6. 범복(梵福)의 양과 그 과보 7. 법시(法施) 8. 순복분(順福分)·순해탈분·순결택분의 선업 Ⅺ. 업품 여론(餘論) 1. 세간 일상사의 업 ― 서(書)·인(印)·산(算)·문(文)·수(數)의 본질 2. 제법의 이명(異名)
■■ 제5편 수면품(隨眠品) ■■
Ⅰ. 수면론 일반 1. 수면의 공능 2. 근본 6수면 3. 7수면 ⓐ 욕탐과 수면의 관계에 대한 제부파의 논쟁 4. 10수면 5. 98수면으로의 전개 ⑴ 98수면과 견(見)·수소단(修所斷) ⑵ '견(見)'의 차별로서의 5견의 본질 ① 계금취견이 견고소단(見苦所斷)인 이유와 이에 대한 비판 ⑶ 4전도(顚倒) ① 4전도의 본질 ② 전도의 조건 ③ 12전도와 유부의 견소단론 6. 만(慢)의 차별에 대하여 ⑴ 만의 종류 ⑵ 만의 견·수소단 ⑶ 미단(未斷)의 성자에게 만이 일어나지 않는 이유 Ⅱ. 98수면의 제문(諸門)분별 1. 변행(遍行)·비변행(非遍行) 분별 ⑴ 11변행혹(遍行惑) ⑵ 9상연혹(上緣惑) ⑶ 변행과 그 수행법(隨行法) 2. 유루연(有漏緣)·무루연 분별 3. 상응수증(相應隨增)과 소연수증(所緣隨增) 4. 무기·불선 분별 5. 불선근·비불선근(즉 무기근) 분별 ⑴ 불선근 분별 ⑵ 무기근 분별 ⓐ 14무기(捨置記)와 4문기(問記) Ⅲ. 수면의 계박(繫縛)·수증(隨增)과 1. 수면의 계박 ― 3세에 걸친 수면과 그 경계의 관계 ⓐ 3세법의 실유의 논증 ⓑ 3세의 차별에 관한 4대논사의 이설(異說) ⓒ 위부동설(位不同說)과 유부논증에 대한 경량부의 비판 ⓓ 3세실유에 대한 비바사사의 정의(正義) 2. 경계 대상의 끊어짐과 계박의 관계 3. 수면의 수증 ― 법(所繫事)과 식(能繫事)의 관계 4. 유수면심(有隨眠心) 5. 10수면의 생기순서 6. 번뇌생기의 인연 Ⅳ. 온갖 번뇌에 관한 그 밖의 문제 1. 경에서 설한 번뇌의 여러 명칭 ⑴ 누(漏)·폭류(瀑流)·액()·취(取)의 명칭과 종류 ⑵ 3루 등의 본질 2. 수면의 명의(名義)와 이명(異名) 3. 번뇌의 그 밖의 명칭 ⑴ 총론 ⑵ 9결(結) ⑶ 5하분결(下分結) ⑷ 5상분결(上分結) ⑸ 3박(縛) ⑹ 수면(隨眠) ⑺ 수번뇌(隨煩惱) ① 총론 ② 10전(纏) ③ 6번뇌구(煩惱垢) ⑻ 수번뇌의 제문분별 ① 견·수소단분별 ② 악·무기분별 ③ 계계(界繫)분별 4. 근본번뇌(수면)와 수번뇌의 6식(識) 상응분별 5. 근본번뇌와 수번뇌의 5수근(受根) 상응분별 ⑴ 근본번뇌와 5수근 상응분별 ⑵ 수번뇌와 5수근 상응분별 6. 5개(蓋) Ⅴ. 번뇌의 단멸(斷滅) 1. 단혹(斷惑)의 네 가지 원인 2. 4종의 대치(對治) 3. 혹이 끊어지게 되는 처소 4. '멀리한다'는 것(遠性)의 네 종류 5. 혹의 재단(再斷)과 이계의 중득(重得)에 대하여 6. 단변지(斷遍知) ⑴ 9변지의 명칭 ⑵ 도과(道果)로서의 9변지 분별 ⑶ 9변지의 건립 이유 ⑷ 변지를 성취하는 유정 ⑸ 불환과와 아라한과에 한 가지 변지만을 설정하는 이유 ⑹ 변지의 획득과 상실
■■ 제6편 현성품(賢聖品) ■■
Ⅰ. 도(道) ― 견도와 수도의 본성 Ⅱ. 성제론(聖諦論) 1. 4제(諦) ⑴ 고제(苦諦)에 대 ① 3고(苦)와 유루행 ② 도제(道諦)와 행고(行苦) ③ 낙수(樂受)가 괴로움인 까닭 ④ 낙수의 가실(假實) 논쟁 ⑵ 집제(集諦)에 대하여 2. 2제설 Ⅲ. 견도의 가행론(加行論) 1. 계(戒)의 안주와 문(聞)·사(思)·수소성(修所成)의 3혜(慧) 2. 신기청정(身器淸淨) ⑴ 신심원리(身心遠離) ⑵ 희족소욕(喜足少欲) ⑶ 4성종(聖種) 3. 5정심관(停心觀) ⑴ 총설 ⑵ 부정관(不淨觀) ① 부정관의 목적과 네 가지 탐(貪) ② 부정관의 단계 ③ 부정관의 제문분별 ⑶ 지식념(持息念) ① 숨에 대하여 4. 별상념주(別相念住) 5. 총상념주(總相念住) 6. 4선근(善根) ⑴ 난선근(煖善根) ⑵ 정선근(頂善根) ⑶ 인선근(忍善根) ⑷ 세제일법(世第一法) ⑸ 4선근의 행수(行修)와 득수(得修) ⑹ 4선근의 제문분별 ⑺ 4선근의 공능 ⑻ 4선근위에서의 3승(乘)의 전근(轉根) ⑼ 4선근위에 이르기까지의 수행기간 Ⅳ. 견도위(見道位) ― 성제의 현관(現觀) 1. 견도 16심(心) ⑴ 16심의 돈(頓)·점현관론(漸現觀論) ⑵ 16심의 소의지(所依地) 2. 인(忍)·지(智)의 작용과 순서 3. 16심의 견(見)·수도(修道) 분별 4. 견도와 초월증(超越證)의 성자 ⑴ 견도위의 성자(隨信行·隨法行) ⑵ 수도위(견도 제16심)의 성자(信解·見至) ⑶ 제16심의 성자가 일래향(一來向) 등이 아닌 까닭 Ⅴ. 수도위(修道位) 1. 수혹(修惑)과 그 대치도의 수(數) 2. 수도위의 성자 ⑴ 예류과(預流果) ⑵ 일래향(一來向)과 일래과(一來果) ⑶ 불환향(不還向)과 불환과(不還果) ① 총론 ② 7종 불환 ③ 9종 불환 ④ 7선사취(善士趣) ⑤ 경생(經生)의 성자의 경우 ⑥ 정려의 잡수(雜修) (7) 5정거천(淨居天) (8) 신증(身證)의 불환 (9) 근기와 지(地) 등에 따른 불환의 종류 Ⅵ. 무학위(無學位) 1. 아라한향(阿羅漢向)과 아라한과(阿羅漢果) ⑴ 아라한향과 금강유정(金剛喩定) ⑵ 진지(盡智)와 아라한과 ⑶ 유학과 무학 ⑶ 성자론 총결 ― 8성자 ⓐ 유·무루도와 이염(離染)의 관계 ⓑ 유·무루도와 이계득(離繫得)의 관계 ⓒ 유·무루도와 이염의 소의지(所依地)관계 ⓓ 근분정(近分定)의 이염과 해탈도의 관계 ⓔ 유루 세간도(6行觀)의 소연과 행상 2. 진지 이후에 생겨나는 지(智)에 대하여 3. 사문성(沙門性)과 사문과(沙門果) ⑴ 사문의 본성(무간·해탈도)과 그 과보 ⑵ 사문과로서 네 가지 만을 설한 이유 ⑶ 초월증의 일래·불환이 사문과인 이유 ⑷ 사문성의 이명(異名) ① 전법륜(轉法輪)에 대하여 ⑸ 사문과의 소의신 4. 아라한의 6종성(種姓) ⑴ 6종성의 아라한 ⑵ 아라한의 유퇴론(有退論) ⑶ 사문과의 퇴(退)·무퇴(無退)와 이에 관한 제부파의 논쟁 ⑷ 유학위와 범부위의 6종성 ⑸ 물러남[退]의 세 종류 ⑹ 퇴과(退果) 후의 재득(再得) 그 때 짓는 업에 대하여 5. 연근(練根)의 도 6. 무학위의 성자 ― 9무학 Ⅶ. 유·무학위에 걸친 제문제 1. 7성자의 차별의 근거 2. 특히 구해탈과 혜해탈에 대하여 3. 원만한 유학과 무학의 조건 Ⅷ. 도(道)에 관한 여러 이론 1. 가행·무간·해탈·승진의 네 가지 도 2. 고(苦)·낙(樂)의 4통행(通行) 3. 37보리분법(菩提分法) ⑴ 그 명칭과 수(數) ⑵ 보리분법의 본질 ① 특히 염주(念住)·정단(正斷)·신족(神足)의 본질 ② 5근(根)과 5력(力)의 차이 ⑶ 수행의 각 단계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보리분법 ⑷ 보리분법의 유루·무루 분별 ⑸ 보리분법의 소의지 4. 4종의 증정(證淨) 5. 정지(正智)와 정해탈(正解脫) ⑴ 무학의 정지와 정해탈 ⑵ 무학심이 정해탈하는 때 ⑶ 무학심의 생장(生障)이 끊어지는 때 ⑷ 단(斷)·이(離)·멸(滅) 3계의 무위해탈 6. 싫어함[厭]과 떠남[離]의 관계
■■ 제7편 지품(智品) ■■
Ⅰ. 서설 ― 인(忍)과 지(智)와 견(見)의 관계 Ⅱ. 지(智)의 종류와 차별 1. 10지의 전개 ⑴ 유루지(世俗智)와 무루지(法·類智) ⑵ 무루의 8지 ⑶ 특히 타심지(他心智)에 대하여 ⑷ 진지(盡智)와 무생지(無生智)의 차별 2. 10지 상호의 포섭관계 3. 유·무루지를 10지로 건립한 이유 4. 법지와 유지의 대치력의 한계 Ⅲ. 10지의 행상(行相) 1. 10지의 여러 행상 ⓐ 타심지의 소연으로서 유탐심(有貪心) 등 22심에 대한 논쟁 2. 무루지와 16행상 3. 16행상의 실체와 명의(名義) Ⅳ. 10지의 제문분별 1. 3성·소의지·소의신 분별 2. 10지와 4념주와의 상호포섭 관계 3. 10지의 소연의 경계에 대하여 ⑴ 10지 상호간의 인식관계 ⑵ 10지의 소연의 경계 ⑶ 특히 세속지의 소연의 경계 4. 행자가 성취하는 지의 종류 5. 온갖 수행위에서의 10지의 습수(習修)와 득수(得修) ⑴ 견도위에서의 습수와 득수 ⑵ 수도위에서의 습수와 득수 ⑶ 무학위에서의 습수와 득수 ⑷ 그 밖의 계위와 공덕을 닦을 때의 습수와 득수 ⑸ 득수와 소의지의 관계 ⑹ 닦음[修]의 네 종류 Ⅴ. 지(智)에 의해 획득되는 공덕 1. 부처의 18불공덕(不共德) ⑴ 총론 ⑵ 10력(力) ① 부처의 심력(心力) ② 부처의 신력(身力) ⑶ 4무외(無畏) ⑷ 3념주(念住) ⑸ 대비(大悲) ① 대비와 '비'1234의 차이점 ⑹ 제불(諸佛) 공덕의 동이(同異) ⑺ 여래의 3덕(德) 2. 부처와 성자에 공통되는 공덕 ⑴ 총론 ⑵ 무쟁(無諍) ⑶ 원지(願智) ⑷ 4무애해(無礙解) ①무쟁 등과 변제정(邊際定) 3. 부처와 성자와 이생에 공통되는 공덕 ⑴ 6통(通) ⑵ 3명(明) ⑶ 3시도(示導) ⑷ 특히 신경통(神境通)에 대하여 ① 신경통의 과보인 변화와 능히 그것을 낳는 마음 ⑸ 천안통(天眼通)과 천이통(天耳通)에 대하여 ⑹ 5통의 획득 방법
■■ 제8편 정품(定品) ■■
Ⅰ. 선정(禪定) 1. 4정려(靜慮) ① 심일경성(心一境性)에 대한 논쟁 2. 4무색정(無色定) ① 무색계에서의 색의 존재유무에 대한 논쟁 3. 8등지(等至)와 미(味)·정(淨)·무루등지 4. 정려등지에 관한 제문제 ⑴ 정려지(靜慮支) ⑵ 정려지의 실제적 본질 ① 정려지에 대한 유부와 경량부의 논쟁 ⑶ 염정려(染靜慮)의 지(支)에 대하여 ⑷ 정려의 동(動)과 부동(不動) ⑸ 생(生) 정려의 수(受)에 대하여 ① 위의 세 생정려에서 안식 등을 일으키게 되는 근거 5. 미·정·무루의 세 등지에 관한 제문제 ⑴ 등지를 처음으로 획득하는 방식 ⑵ 세 등지의 상생(相生) 관계 ⑶ 정(淨)등지의 4분정(分定)과 그 상생관계 ⑷ 한 단계 뛰어넘어 등지를 닦는 방식 ⑸ 등지의 소의신 ⑹ 등지의 경계 ⑺ 단혹(斷惑)의 등지 ⑻ 특히 근분정(近分定)에 대하여 ⑼ 중간정려와 근분정의 차이 6. 경에서 설한 여러 등지(等持, 즉 삼마디) ⑴ 유심유사(有尋有伺) 등의 세 삼마지 ⑵ 공(空)·무원(無願)·무상(無相) 삼마지 ⑶ 공공·무원무원·무상무상 삼마지 ⑷ 네 가지 수등지(修等持) Ⅱ. 선정에 의해 일어나는 공덕 1. 4무량(無量) ① 4무량의 가행과 성만(成滿) 2. 8해탈(解脫) 3. 8승처(勝處) 4. 10변처(遍處) 5. 해탈 등의 세 공덕의 득과 소의신 6. 선정을 일으키는 인연 Ⅲ. 전(前) 8품(品)의 총결 1. 정법(正法)의 본질과 세간에 머무는 기간 2. 본론을 짓게 된 취지 3. 탄식과 권학(勸學)의 유통게(流通偈)
■■ 제9편 파집아품(破執我品) ■■
Ⅰ. 유아론 비판 총론 Ⅱ. 독자부(犢子部)의 비즉비리온아(非卽非離蘊我) 비판 1. 이증(理證)에 의한 비판 ⑴ 가실(假實)에 근거한 비판 ① 불(能燒)과 땔감(所燒)의 관계에 대한 논쟁 ⑵ 독자부의 5법장설(法藏說)에 근거한 비판 ⑶ 보특가라의 '근거[所託]'에 따른 비판 ⑷ 6식(識)의 대상으로서의 보특가라 비판 2. 경증(經證)에 의한 비판 3. 독자부의 논란에 대한 해명과 비판 ⑴ '나는 과거세에 ……였다'는 경증 ① 일체지자(一切智者)의 의미 ⑵ '무거운 짐(오온)을 진 자'의 경증 ⑶ '화생(化生)의 유정'에 관한 경증 ⑷ '하나의 보특가라가 존재한다'는 경증 ⑸ 신명일이(身命一異)의 무기 ① 그 밖의 세 종류의 무기설의 의미 ⑹ '무아를 주장하면 악견처(惡見處)에 떨어진다'는 경증 ⑺ 생사유전의 주체 ⑻ '나는 옛날 세간의 도사(導師)였다'는 경증 ① 독자부와 관련하여 공견(空見)과 아견(我見) 비판 ⑼ 기억에 관한 논란 ① 기억과 재인식 ② 능히 기억해 내는 주체 ③ 기억의 소유자 Ⅲ. 수론(數論,혹은 문법학자)의 유아론 비판 1. 수론의 일반적 주장과 이에 대한 비평 2. 특수한 논란에 대한 ⑴ '천수는 간다'에서의 '천수'와 '간다' ⑵ '의식이 소연을 요별(了別)한다'는 말의 의미 ⑶ 전후 의식의 유사성과 결정성 Ⅳ. 승론(勝論)의 유아론 비판과 경량부의 종자상속론 1. 승론의 일반적 주장과 이에 대한 비판 2. 특수한 논란에 대한 해명과 비판 ⑴ 업을 짓는 까닭과 자아관념[我執] ⑵ 고락(苦樂)의 향수자 ⑶ 업의 작자와 과보의 향수자 ⑷ 비유정물에 대한 업 ⑸ 업의 상속 ― 상속의 전변과 차별 ⑹ 이숙과와 종자 Ⅴ. 유통분(流通分) ― 결어
■■ 제법 분류표 ■■
1. 유위와 무위
1) 유위법(有爲法, samskrta dharma)
2) 무위법(無爲法, asamskrta dharma)
2. 유루와 무루
1) 유루법(有漏法, sasrava dharma)
2) 무루법(無漏法, ansasrava dharma)
3. 5온(蘊)
1) 색온(色蘊, rupa skandha)
2) 수온(受蘊, vedan skandha)
3) 상온(想蘊, samjna skandha)
4) 행온(行蘊, samskara skandha)
5) 식온(識蘊, vijnana skandha)
4. 12처(處)
1) 안처(眼處, caksur indriya yatana)
2) 이처(耳處, rotra indriya yatana)
3) 비처(鼻處, ghrana indriya yatana)
4) 설처(舌處, jihva indriya yatana)
5) 신처(身處, kaya indriya yatana)
6) 의처(意處, mana indriya yatana)
7) 색처(色處, rupa yatana)
8) 성처(聲處, sabda yatana)
9) 향처(香處, gandha yatana)
10) 미처(味處, rasa yatana)
11) 촉처(觸處, sprsa avya yatana)
12) 법처(法處, dharma yatana)
5. 18계(界)
1) 안계(眼界, caksur dhatu)
2) 이계(耳界, rotra dhatu)
3) 비계(鼻界, ghrana dhatu)
4) 설처(舌界, jihva dhatu)
5) 신처(身界, kaya dhatu)
6) 의처(意界, mano dhatu)
7) 색계(色界, rupa dhatu)
8) 성처(聲界, sabda dhatu)
9) 향처(香界, gandha dhatu)
10) 미처(味處, rasa dhatu)
11) 촉처(觸界, sprsa avya dhatu)
12) 법처(法界, dharma dhatu)
13) 안식계(眼識界, caksur vijnana dhatu)
14) 이식계(耳識界, rotra vijnana dhatu)
15) 비식계(鼻識界, ghrana vijnana dhatu)
16) 설식계(舌識界, jihva vijnana dhatu)
17) 신식계(身識界, kaya vijnana dhatu)
18) 의식계(意識界, mano vijnana dhatu)
6. 5위(位) 75법(法)
1) 색법(色法, r pa dharma): 11가지
① 안근(眼根, cakaur indriya)
② 이근(耳根, rotra indriya)
③ 비근(鼻根, ghrana indriya)
④ 설근(舌根, jihva indriya)
⑤ 신근(身根, kaya indriya)
⑥ 색경(色境, rupa visaya)
⑦ 성경(聲境, sabda visaya)
⑧ 향경(香境, gandha visaya)
⑨ 미경(味境, rasa visaya)
⑩ 촉경(觸境, sparaa avya visaya)
⑪ 무표색(無表色, avijna apti)
2) 심법(心法, citta dharma): 1가지
3) 심소법(心所法, caitta dharma): 46가지
① 대지법(大地法, mah bh mika dharma); 10가지
a. 수(受, vedana)
b. 상(想, samjna)
c. 사(思, cetana)
d. 촉(觸, sparsa)
e. 욕(欲, chanda)
f. 혜(慧, prajna)
g. 념(念, smrti)
h. 작의(作意, manaskara)
i. 승해(勝解, adhimoksa)
j. 삼마지(三摩地, samadhi)
② 대선지법(大善地法, ku ala mah bh mika dharma): 10가지
a. 신(信, sraddha)
b. 근(勤, virya)
c. 사(捨, upeksa)
d. 참(慚, hri)
e. 괴(愧, apatrapya)
f. 무탐(無貪, alobha)
g. 무진(無瞋, advesa)
h. 불해(不害, ahimsa)
I. 경안(輕安, prasrabdhi)
j. 불방일(不放逸, apramada)
③ 대번뇌지법(大煩惱地法, kle a mah bh mika dharma): 6가지
a. 무명(無明, avidya)
b. 방일(放逸, pramada)
c. 해태(懈怠, kausidya)
d. 불신(不信, raddha)
e. 혼침(?沈, styana)
f. 도거(掉擧, auddhatya)
④ 대불선지법(大不善地法, aku ala mah bh mika dharma): 2가지
a. 무참(無慚, hrikata)
b. 무괴(無愧, anapatrapa)
⑤ 소번뇌지법(小煩惱地法, upakle a bh mika dharma): 10가지
a. 분(忿, krodha)
b. 부(覆, mraksa)
c. 간(慳, matsarya)
d. 질(嫉, irsya)
e. 뇌(惱, pradasa)
f. 해(害, vihimsa)
g. 한(恨, upanaha)
h. 첨(諂, maya )
i. 광(誑, sathya)
j. 교(憍, mada)
⑥ 부정지법(不定地法, aniyatabh mika dharma)
a. 악작(惡作, kaukrtya)
b 수면(睡眠, middha)
c. 심(尋, vitarka)
d. 사(伺, vicara)
e. 탐(貪, raga)
f. 진(瞋, pratigha)
g. 만(慢, mana)
h. 의(疑, vicikitsa)
4) 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 cittaviprayukta sa sk ra dharma): 14가지
① 득(得, prapti)
② 비득(非得, aprapti)
③ 동분(同分, sabhagata)
④ 무상과(無想果, asamjnika)
⑤ 무상정(無想定, asamjnisamapatti)
⑥ 멸진정(滅盡定, nirodhasamapatti)
⑦ 명근(命根, jivitendriya)
⑧ 생(生, jati)
⑨ 주(住, sthiti)
⑩ 이(異, jara)
⑪ 멸(滅, anityata)
⑫ 명신(名身, namakaya)
⑬ 구신(句身, padakaya)
⑭ 문신(文身, vyamjanakaya)
5) 무위법(無爲法, asa sk ta dharma)
① 허공무위(虛空無爲, akasa)
② 택멸무위(擇滅無爲, pratisamkhyanirodha)
③ 비택멸무위(非擇滅無爲, apratisamkhyanirodh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