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사미 십계를 받아 어진 수도인(道人)이 되었다.
다음에는 마땅히 해야할 것을 가르치노니, 점점 작은 것에서부터 조금씩 일어 나는 것이라 마땅히 몸가짐과 해야 할 일을 알아야 한다.
스승(和尙)의 나이와 삼사(三師)의 이름을 알아야하며, 처음 계 받던 날짜를 알아야 한다. 화상을 모시는데 몇 가지 일이 있는지 알아야 하며, 또 아사리를 따르며 모시는데 몇 가지 일이 있는지 알아야 한다.
또 치솔과 씻을 물을 드리는데 몇 가지 일이 있는지 알아야 하며, 또 가사를 드리고 받거나 바루를 들어 드림에 몇 가지 일이 있는지 알아야 하며 또 지팡이를 잡고 신발을 가지는 데 몇 가지 일이 있는지 알아야 한다.
화상과 아사리와 함께 공양청에 응할 때, 왕궁에 갔을 때, 거사의 집(迦夷羅越家)에 갔을 때, 바라문의 집에 갔을 때, 늘어 앉아서 밥 먹을 때, 혼자 앉아서 밥먹을 때, 여럿이 성에 들어 가서 얻어 먹을 때, 여럿이 함께 돌아 올 때, 있던 곳에 왔을 때, 해가 질 때, 물 가에 머물러서 밥 먹을 때, 길 가에 있을 때, 나무 아래서 밥을 먹을 때, 자신이 먼저 갔다가 서로를 기다릴 때, 모아서 먹을 때, 바루를 바꿀 때, 모두 함께 밥을 기다릴 때, 일찍 먹거나 늦게 먹을 때, 먹고나서 씻고 이를 닦을 때, 바루를 씻고 걷을 때 등에 각각 몇가지 일이 있는지 갖추어 알아야 한다.
마땅히 대중 스님에게 공급하는 당번(直日)일 때 각각 몇 가지 일이 있는지 알아야 한다.
나이가 이십이 되어 비구계를 받아야 할 때 모두 다 알아야 한다. 가령 현자(사미)를 위해 비구가 묻는 것을 갖추어 대답하지 못하면 구족계를 주거나 받지 못한다.
왜냐하면 사미가 되어서 사미가 마땅히 해야할 바의 일을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사문의 일은 중대하고 매우 미묘하여 하기가 어려우니 현자 사미여, 그대는 다시 가서 더 익숙히 배워 마땅히 모두 다 듣고 알게 된 뒤에 라야 마땅히 구족계를 주리라.
그래서 그대가 사미법을 알지 못하는 것은 다만 몸의 괴로움을 살피지 못한 때문이니라. 뜻을 조복하지 않고서 도리어 구족계를 받으려 하는가. 이제 그대에게 구족계를 주면 사람들이 부처님의 법은 행하기도 쉽고, 사문이 되기도 쉽다고 하여, 부처님 가르침의 매우 미묘함과 죄복의 운행과 법률의 교호를 알지 못하고 몇일 사이에 그것을 보려고 할 것이다.
이러한 까닭에 마땅히 먼저 묻는 것이니, 설령 여법하게 갖추어 대답할 수 있다 하더라도 삼사(三師)를 쉽게 얻을 수 있을 뿐이니라.1) 스승이 사미를 가르치는 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어른 스님을 공경하게 한다.
둘째 어른 스님의 이름을 부르지 않는다.
셋째 어른 스님들이 계와 경을 말씀하실 때 엿듣지 않는다.
넷째 어른 스님의 장단점을 따지지 않는다.
다섯째 어른 스님이 실수를 했을때 여기 저기 말하지 않아야 한다.
이것을 사미의 몸가짐[威儀]이라 한다.
2) 또 사미를 가르치는 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으슥한 곳에서 어른 스님을 흉보거나 욕하면 안된다.
둘째 어른 스님 앞에서 가벼이 장난하고 웃으며 그 말투와 모습과 행동 거지를 흉내내면 안된다.
셋째 어른 스님이 지나가면 일어서야하니 만약 경전을 읽거나 밥을 먹거나 대중과 일할때는 일어서지 않아도 된다.
넷째 다니다가 어른 스님과 만나면 아랫 길에 서서 그를 피하여야 한다.
다섯째 만약 희롱하고 놀릴 때 만약 어른스님을 뵈면 곧 이야기를 그쳐 들리지 않게 해야 한다.
이와 같이 마땅히 해야 할 바를 시행 해야한다.
3) 사미가 스승(和尙)을 섬기는데 열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일찍 일어나야 한다.
둘째 방에 들어 가려고 하면 먼저 문을 세번 두드려야 한다.
셋째 칫솔과 씻을 물을 준비 해드려야 한다.
넷째 가사를 드리고 물러나와 신을 드려야 한다.
다섯째 소지를 하고 씻을 물을 더 길어놓아야 한다.
여섯째 이불(被) 등 침구류를 접어 드리고, 앉으실 자리를 털어드려야 한다.
일곱째 스승이 나가셔서 아직 돌아 오시지 않았으면 방을 비우고 나가지 말며, 스승이 돌아오면 다시 가사를 받아 안으로 접어드려야 한다.
여덟째 만약에 잘못이 있어서 스승과 아사리가 꾸짖으시면 도리어 거슬러 말하면 안된다.
아홉째 스승의 말씀을 받았으면 인사(低頭)하고 물러나 생각하고 그것을 실천한다.
열째 집밖으로 나가면 문을 끌어 닫는다.
이것이 스승을 모시는 법이다.
4) 사미가 아사리를 섬기도록 가르치는데 다섯 가지가 있다.
첫째 아사리 보기를 모두 나를 보는 것 같이 해야 한다.
둘째 희롱하거나 놀리면 안된다.
셋째 설령 너를 꾸짖고 욕하더라도 대꾸하면 안된다.
넷째 너에게 더러운 그릇을 치우라고 하더라도 침을 뱉거나 싫다고 성 내면 안된다.
다섯째 날이 저물면 주물러 드려야한다.
이것이 아사리를 섬기는 법이다.
5) 사미가 아사리와 스승을 모시는 법으로,
일찍 일어나서 칫솔과 씻을 물을 드림에 여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양지(楊枝;칫솔)를 잘라 크기는 알맞게 해야 한다.
둘째 끄트머리를 잘 부수어야 한다.
셋째 씻을 때는 마땅히 깨끗하게 해야 한다.
넷째 하룻밤 지난 오래된 물은 바꾸어 두어야 한다.
다섯째 뒷물하는 병(軍持)을 깨끗히 씻어야 한다.
여섯째 물을 가득 채워 가지고 들어가서 더러운 것을 씻으면서 소리가 나지 않게 해야 한다.
이것이 칫솔과 씻을 물을 갖추어 드리는 법이다.
6) 가사를 드리는 데 네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천천히 한 손은 내밀고 한 손으로는 아래를 잡고 드린다.
둘째 차례로 아래 위를 살펴드려야 한다.
셋째 스님의 옷을 들고 바로 서 있어야 한다.
넷째는 윗옷을 스승의 어께 위에 걸처 드려야 한다.
이것이 스승에게 가사를 받들어 드리는 법이다.
7) 가사를 걷는 데 네 가지 일이 있다.
첫째는 아래 위를 잘 살펴야 한다.
둘째는 땅에 닿게 하면 안된다.
셋째 항상 걸어 두는 곳에 두어야 한다.
넷째 위를 덮어야 한다.
이것이 스승의 가사를 걷어 드리는 법이다.
8) 바루를 지니는 데 네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씻어서 깨끗하게 해야 한다.
둘째 물기를 닦고 잘 말려야 한다.
셋째 띠를 단단하게 해야 한다.
넷째 부딪히는 소리가 나게 하면 안된다.
이것이 바루를 지니는 법이다.
9) 석장을 지니는 데 네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먼지나 때를 닦아내어야 한다.
둘째 땅에 닿아 소리가 나게 하면 안된다.
셋째 스승이 방에서 나오시면 바로 드려야 한다.
넷째 스승이 나가셨다가 돌아오시면 받아 드려야 하며, 만약 함께 가거나, 대중에 들어가거나, 예불을 드리시면 또한 받아 드려야 한다.
이것이 석장을 지니는 법이다.
10) 신발을 지니는 데 네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먼저 신을 떨어야하며
둘째 잘 살펴보고 신을 가지런히 한다.
셋째 손을 씻어야 한다. 바로 가사를 가지면 안된다.
넷째 스승이 자리에 앉고 나면 신발을 가지런히 해 두어야 한다.
이것이 신발을 지니는 법이다.
11) 함께 공양 청을 받아
스님과 함게 앉아서 공양할 때 네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앉을 때 스승에게서 여섯자 떨어져 앉아야 한다.
둘째 시주를 위하여 스승께서 법을 설하고 나면 바루를 드려야 한다.
셋째 스님보다 먼저 먹으면 안된다.
넷째 스님께서 공양하고 나면 일어서서 바루를 걷어드리고 자신이 다가가야 한다.
이것이 함께 앉아서 밥 먹는 법이다.
12) 따로 앉아서 공양하는 데 네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스님 곁에 서있어야 한다.
둘째 스님께서 먹으러 가라 하면 가서 앉는다.
셋째 앉을 때는 이마가 땅에 닿도록 인사를 한다.
넷째 밥을 먹을 때 웅크려 앉아 자리 위에서 희희덕거리면 안된다. 공양을 다 먹고나면 스승 곁에 가서 서 있어야 한다. 스승이 돌아가서 앉아라고 하면 앉는다.
이것이 따로 앉아서 공양하는 법이다.
13) 성에 들어가서 걸식을 하는 데 네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스승의 발우를 들어 드려야 한다.
둘째 스승의 뒤를 따르되 스승의 그림자를 밟지 말아야 한다.
셋째 성밖에서 바루를 스승에게 드려야 한다.
넷째 성에 들어가 따로 가고 싶으면 당연히 스승에게 말씀드려야 한다.
이것이 걸식하는 법이다.
14) 함께 갔다가 돌아 왔을 때 네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먼저 서서히 문을 열고 방석을 내어서 깔아 드려야 한다.
둘째 스승이 손을 씻고 나면 자신도 씻는다.
셋째 스승의 바루를 드리고 물러나서 손을 맞잡고[叉手] 선다.
넷째 미리 비누(澡豆)와 수건을 준비 한다.
이것이 돌아와서 밥먹는 법이다.15) 물가를 지나서 공양하는 데 네 가지 일이 있다.
첫째 깨끗한 땅을 구해야 한다.
둘째 풀을 구해서 자리를 만들어야 한다.
셋째 물을 떠서 스승이 손을 씻고 나면 다시 자신의 손을 씻고 나서야 스승에게 바루를 드린다.
넷째 스승이 공양하라 하거든 인사 하고 물러나서 앉는다.
이것이 물가에서 공양할 때의 법이다.
16) 그늘진 나무 아래 머물며 공양하는 데 네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바루를 나무 위에 매달아서 보관하고, 나뭇잎을 모아서 자리를 만들어 드려야 한다.
둘째 물을 떠다 가 스승이 손을 씻게 해드려야 하며, 가령 물을 얻을 수 없으면 깨끗한 풀을 스승께 드려야 한다.
셋째 바루를 거두어서 다시 스승에게 드린다.
넷째 미리 깨끗한 풀을 준비 했다가 스승의 바루를 씻어드리고 난 뒤, 도리어 풀이 마르면 바루를 털어 드리고 물러난다.
이것이 나무 아래에서 공양할 때의 법이다.17) 다니다가 길에서 서로 기다리는 데 세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바루를 깨끗한 땅에 놓고 인사를 다른 일에서와 같이 드려야 한다.
둘째 날이 이른지 저무는지, 빨리가면 돌아 갈수 있는지, 도중에 머물러야하는지 살펴야한다.
셋째 스승의 바루를 받아서 같이 들고 스승의 뒤를 따라야한다.
이것이 길에서 서로 기다릴 때의 법이다.18) 바루의 공양을 합하는 데 두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스승의 바루에 락(酪)이나 수(酥)나 장(漿)이 없으면 자신이 얻은 바루의 밥에서 골라 스승에게 드리며, 스승이 가져 가시지 않으면 가만히 물러나 앉는다.
둘째 천천히 스승의 바루에서 반 쯤의 공양을 덜어서 깨끗한 땅의 나뭇잎 위에 놓고 물러나서, 자신의 바루에서 반 정도의 공양을 덜어서 스승의 바루에 떠 옮기고 물러난다.
이것이 발우의 공양을 합하는 방법이다.
19) 발우의 공양을 바꾸는 데 세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스승이 발우에 좋은 것을 얻었으나, 자신은 얻지 못했더라도 스승에게 드린다.
둘째 스승이 바루의 공양을 바꾸자고 하면 사양하고 받지 않는다.
셋째 스승이 굳이 바루를 바꾸자 하시면 다시 더한 찬을 취한 다음 곧 바루를 닦아서 스승에게 드린다.
이것이 바루의 밥을 바꾸는 법이다.20) 스승과 마주앉아서 밥 먹을 때 세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스승에게 바루를 드리고 나서 물러나 앉아서 먹는다.
둘째 자주 스승이 드시려 하는 것을 살펴서 떠 드린다.
셋째 음식을 너무 빨리 먹거나 다 먹고 난 뒤 나중에 일어나면 안되며, 마땅히 다시 무엇이 필요하십니까?고 여쭈어야 한다. 스승이 가지고 가라고 하면 곧 가지고 물러나야 한다.
이것이 마주 앉아서 공양할 때의 법이다.
21) 스승이 먼저 먹고 난 뒤에 공양할 때 세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스승에게 바루를 드리고 나서 물러나 가려진 곳에 있다가 스승이 부르는 소리를 들으면 곧 간다.
둘째 미리 손 씻을 물을 한쪽에 준비 해둔다.
셋째 스승이 밥을 먹고나면 손을 씻도록 준비해 드리고 물러 서있다가, 스승이 “가서 밥을 먹어라”고 하시면 곧 예를 드리고 물러나서 밥을 먹는다.이것이 스승이 먼저 먹고 난 뒤에 공양할 때의 법이다.
22) 공양을 하고 난 뒤에 발우를 씻는 데 세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이를 닦고 나서 먼저 스승의 발우를 씻어 깨끗하게 하여 나뭇잎 위에 두어야한다.
둘째 물러나 자신의 바루를 씻어서 또한 나뭇잎위에 두고, 먼저 스승의 바루를 손으로 닦아 깨끗하게 하고 마르면 주머니 안에 넣어 스승께 드린다.
셋째 다시 자신의 바루를 닦아서 마르면 또한 주머니 안에 넣어서 머무는 곳에 걸어 둔다.
이것이 바루를 씻어 말릴 때의 법이다.
23) 바루를 씻으러 갈 때 세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스승이 “나는 지금 아무 곳에 있는 아무개 현자에게 가려고 하니, 너는 먼저 돌아가거라”고 말씀하시면,
둘째 이마를 땅에 대며 인사를 하고 곧 물러나야 한다.
셋째 혼자 되돌아 가면서, 다른 마을을 장난치며 지나치면 안되고, 곧바로 돌아가서 경을 읽어야한다.
이것이 바루를 씻으러 갈 때의 법이다.
24) 사미가 대중에 들어 가는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잘 배워야 한다.
둘째 여러가지 일을 익혀야 한다.
셋째 대중에게 잘 공급해야 한다.
넷째 어른스님께 필요한 물건을 잘 챙겨드려야 한다.
다섯째 비구계를 받으려 할 때 삼사(三師)를 쉽게 얻을 수 있다.
25) 다시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부처님께 예를 드려야 한다.
둘째 비구 스님들에게 예를 드려야 한다.
셋째 위 아래의 자리에도 인사를 해야 한다.
넷째 어른 스님이 앉으실 자리를 남겨 두어야 한다.
다섯째 자리 다툼을 해서는 안된다.
26) 다시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자리 위에서 서로 멀리 부르거나 웃고 말하면 안된다.
둘째 자주 일어거나 나가면 안된다.
셋째 만약 대중 가운데서 “사미 아무개야”하고 부르면 곧 일어 나서 대답한다.
넷째 대중 스님들의 말씀을 잘 따라야 한다.
다섯째 소임보는 스님이 할 일이 있다고 부르면, 마땅히 돌아가서 스승에게 말씀 드려야 한다.
이것이 대중에 들어 갈 때의 법과 할 일이다.
27) 사미가 당번이 되었을 때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대중 스님의 물건을 아껴야 한다.
둘째 길 가운데(當道)서 일을 하면 안된다.
셋째 하던 일을 마치지 않고 중간에 일어나 버리고 떠나면 안된다.
넷째 만약에 화상과 아사리가 부르면 그냥 가면 안되고, 마땅히 소임보는 스님에게 말씀을 드려야 한다.
다섯째 소임보는 스님이 시키는 대로 따라서 어김이 없도록 해야 한다.
이것이 당번을 설 때의 법이다.
28) 채소를 고르는 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뿌리는 잘라야 한다.
둘째 끝을 가지런히 해야 한다.
셋째 푸른 색과 누런 색이 섞여 있게 하면 안된다.
넷째 채소를 씻을 때는 세번 물로 씻어서 깨끗이하고, 세번 물을 턴다.
다섯째 일을 하고 나면 반드시 바닥을 쓸어서 깨끗하게 한다.
29) 다시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대중 스님의 물건을 마음대로 쓰면 안된다.
둘째 만약 쓸 곳이 있어서 쓰려고 하면 마땅히 소임보는 스님에게 말해야 한다.
셋째 있는 힘을 다하여 대중의 일을 해야 한다.
넷째 먼저 식당을 쓸고 자리를 편다.
다섯째 아침 저녁으로 소제를 하고, 변소[舍後]에 물을 채우고, 재(灰土)를 버린다.
30) 물을 길어 옴에 열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손이 더러우면 바로 물을 퍼면 안된다. 먼저 손을 씻어야 한다.
둘째 두레박을 세게 던져서 우물에서 소리가 나게 하면 안된다.
셋째 서서히 두레박을 내려야 한다. 심하게 흔들어 좌우에 부딪치면서 소리가 나게 하면 안된다.
넷째 줄 끝이 꺼꾸로 우물에 들어가서 소리가 나게하면 안된다.
다섯째 신을 가지고 우물의 난간으로 올라가면 안된다.
여섯째 두레박으로 솥에 물을 부으면 안된다.
일곱째 두레박을 땅바닥에 두면 안된다.
여덟째 그릇을 씻어서 깨끗하게 해야 한다.
아홉째 물이 들은 그릇을 들고는 천천히 걸어야 한다.
열째 물든 그릇을 가려진 곳에 두어 길을 다니는데 방해가 되게 해서는 안된다.
31) 솥을 씻는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솥의 가장자리 윗쪽을 씻는다.
둘째 솥의 안쪽을 씻는다.
셋째 솥의 허리와 배 부분(腰腹)을 씻는다.
넷째 솥의 안쪽 바닥을 씻는다.
다섯째 마땅히 세 번 헹구어 낸다.
32) 불을 지피는 데(吹竈)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쭈그리고 앉아서 불을 때면 안된다.
둘째 생나무를 때면 안된다.
셋째 젖은 나무를 때면 안된다.
넷째 썪은 나무를 때면 안된다.
다섯째 뜨거운 물을 부어서 불을 끄면 안된다.
33) 소지하는 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바람을 따라 쓸어야 한다.
둘째 땅에 물을 뿌릴 때 너무 많거나 적게 해서는 안된다.
셋째 더러운 물이 벽에 튀지 않도록 해야 한다.
넷째 젖은 데를 밟아 땅이 허물어지게 하지 말라.
다섯째 소지를 하고 난 뒤 풀을 모아서 변소에 버려야 한다.
34) 비구승이 공양을 하고 있을 때
사미가 소지하는 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항상 뒤로 물러나서 가야 한다.
둘째 손에 들고 뛰어다니면 안된다.
셋째 여섯 사람이 지나면 멈추어서 한 무리를 만든다.(過六人止作一聚),
넷째 모두 쓸고 소제하여 두루 좋게 해야 한다.
다섯째 곧 바로 자신의 손으로 소제하고 나서 가지고 나가 그것을 버려야 한다.
35) 물을 가지고 두레박을 씻거나 붓는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한 손은 위를 잡고 한 손은 아래를 잡되 바뀌지 않도록 해야 한다.
둘째 왼쪽 면을 가깝게 하여 단단히 잡고 앞을 똑바로 보아야 한다.
셋째 다른 사람의 손을 바로 보고 물을 대어야 한다. 많거나 적게 하지 말고, 다른 사람의 손 가운데에 바로 맞도록 대어야 한다.
넷째 물을 부을 때는 다른 사람 손으로부터 4寸정도 떨어지게 해야 한다. 너무 높거나 낱게 하지 말고, 서로 물의 많고 적음을 살펴야 한다. 물이 적어서 한 사람이 쓰기에도 부족하더라도 다른 사람의 손을 넘치게 하지 말라.
다섯째 손을 깨끗이 씻고나서 법답게 가사를 입어라.
36) 대야를 지니는 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대야를 끌면서 소리를 내면 안된다.
둘째 양손으로 왼쪽면을 단단히 잡아야 한다.
셋째 다른 사람 손의 높낮이를 따라야 한다. 좌우를 살피며 두리번 거리지 말라.
넷째 대야를 씻는 도중에 물이 가득차면 내다 버린다. 다른 사람 앞에 뿌리지 말라.
다섯째 다 씻고 나서는 손을 깨끗이 씻고 법답게 가사를 입어라.
37) 수건을 지니는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왼손으로 아래 끝을 잡고 오른손으로 윗쪽 끝을 잡아 다른 사람에게 건네어 준다.
둘째 두 자(二尺)정도 떨어져서 앉는다. 다른 사람의 무릎에 기대어서는 안된다.
셋째 수건을 가지고 다른 사람의 입을 가리면 안된다.
넷째 다른 사람이 손을 닦으며 아직 놓지 않았으면 수건을 잡아 당기지 말고, 다 쓰고 나면 본 자리에 두어야 한다.
다섯째 다 쓰고 나면 손을 깨끗이 씻고 여법하게 가사를 입어라.
38) 신을 드리는 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먼저 들어 속에 있는 것을 털어야 한다.
둘째 윗자리(上座)를 따라 일어나야 한다.
셋째 대야를 씻고나서 소임자(主)에게 보여 스스로 알게 한다.
넷째 왼쪽 오른쪽을 바꿔 신지 말아야 한다. 모두 하의사미(下意沙彌)에 해당된다.
다섯째 다 신고 난 뒤 손을 깨끗이 씻고 법답게 가사를 입어라.
39) 사미가 발우를 씻는 데 일곱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발우에 밥이 남아 있으면 함부로 버리지 말라.
둘째 버려야 할 것이면 깨끗한 땅에 버려야 한다.
셋째 비누(澡豆)나 풀잎 등으로 씻어야 한다.
넷째 씻은 발우를 깨끗한 땅이나 사람이 다니는 길 가운데 두지 말라.
다섯째 씻은 발우는 아래에 받침이 있게 하여야 한다.
여섯째 다시 맑은 물로 씻고, 멀리 버릴 때 더러운 것이 다른 사람에게 튀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일곱째 발우 속의 물을 버리고자 할 때는 땅에서 4촌(寸)정도 떨어지게 하고 너무 높거나 낮지 않게 해야 한다.
40) 발우를 닦는 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다시 손을 씻고 닦아서 말려야 한다.
둘째 깨끗한 수건을 무릎 위에 두어야 한다.
셋째 안쪽을 닦아서 말려야 한다.
넷째 손으로 겉을 닦고 난 뒤 다시 안쪽을 닦으면 안된다.
다섯째 발우를 말리고 난 뒤 곧 깨끗한 수건으로 덮어서 발낭에 넣어 안전한 곳에 두어야 한다.
41) 함께 공양할 때
사미가 발우를 지니도록 가르치는 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맨땅에 그냥 두지 마라.
둘째 포개면서 소리가 나지 않게 하라.
셋째 양지(칫솔)를 발우 속에 두지 말라.
넷째 다른 사람이 오면 자리를 주어야 한다. 발우를 다른 사람의 자리 맡에 두지 말라.
다섯째 다른 사람을 따라 가면서 뒤로 발우를 주지 말라. 곧바로 앞을 따라야 하고, 또한 대중 속을 가지 말라. 스승이 공양을 마쳤는지 살펴보고 마땅히 일어나서 발우를 거두고 자리에 돌아온다.
이것이 발우를 가지는 법이다.
42) 스승을 위하여
다른 사람에게 사례를 답하러 갈 때 일곱 가지 일이 있다.
첫째 곧 바로 가야 한다.
둘째 곧 바로 되돌아 와야 한다.
셋째 스승이 하시는 말씀을 잘 알아서 전하고, 다른 사람이 하시는 말씀을 잘 듣고 전해 드려야 한다.
넷째 함부로 지나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볼 일이 다 끝났으면 머물러 유숙하지 말아야 한다.
여섯째 비웃거나 기롱하지 말라(不得調譺).
일곱째 출행할 때는 반드시 위의(法則)가 있게 해야 한다.
43) 사미가 비구승에게 무엇을 공급할 때
마치지 않았으면 함부로 어른 스님(大沙門)의 방에 들어가지 못 한다. 세 가지 일이 있을 때는 들어갈 수 있다.
첫째 화상이나 아사리가 가라고 할 때,
둘째 잡은 게 있어서 빌릴 때,
셋째 가서 경을 물으려고 할 때는 들어갈 수 있다.
44) 방에 들어가고자 할 때 일곱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세 번 문을 두들기고(三彈指)나서 들어갈 수 있다.
둘째 人道를 당하여 서거나 앉을 때 불이나 햇볕을 가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
셋째 다른 일을 함부로 말하지 말라.
넷째 차수를 하고 법답게 말씀을 드려야 한다.
다섯째 앉으라고 할 때 다리를 꼬아서 앉으면 안된다.
여섯째 비웃거나 기롱하지 말라(不得調譺).
일곱째 다른 사람의 앞을 가리지 말라. 방을 나오려고 할 때는 나오려는 방 쪽으로 얼굴을 돌려 뒤로 물러 나와야 한다. 나올 때 등을 보이며 나오면 안된다.
45) 홀로 사미를 멀리 보낼 때
상두(上頭)를 가르치는 데 세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저들이 그대의 화상 이름이 무엇이냐고 물으면 곧 아무개라고 합니다고 대답해야 한다.
둘째 다시 그대 화상은 사문이 된 지 몇 해가 되었는가 라고 물으면 곧 몇 해입니다고 대답해야 한다.
셋째 다시 그대 화상은 어느 곳 분이시냐고 물으면 곧 어느 군현(郡縣)의 분이시라고 대답한다.
설령 다시 그대 아사리의 이름이 무엇이냐고 물으면 곧 아무개라고 대답한다. 다시 그대 아사리는 사문이 된 지 몇 해가 되었느냐고 물으면 곧 몇 해라고 대답한다. 다시 그대 아사리는 어느 곳 사람이냐고 물으면 어느 나라 어느 마을(縣)의 분이라고 대답한다.
만약 다시 현자는 이름이 무엇이냐고 물으면 곧 아무개라고 한다고 대답한다. 다시 그대는 사미가 된 지 얼마나 되었는가고 물으면 곧 몇 년 몇월 몇일 몇시가 되었다고 대답한다. 이것이 화상과 아사리를 알고, 또한 스스로 때와 이름과 해와 일월의 수를 아는 것이라 한다.
46) 목욕탕에 들어가는 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머리를 숙이고 들어가야 한다.
둘째 들어가서는 반드시 어른(上座)의 자리를 피하여야 한다.
셋째 상좌가 경을 읽을 때 함부로 말하면 안된다.
넷째 서로 물을 뿌리며 장난을 치면 안된다.
다섯째 물을 뿌려 불을 끄면 안된다.
47) 다시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비웃거나 기롱하지 말라.
둘째 물독이나 항아리를 깨면 안된다.
셋째 물을 너무 낭비 하지 말라.
넷째 탕의 물 속에 비누(澡豆)나 마유(麻油) 등을 넣지 말라.
다섯째 목욕이 끝나면 바로 나오고, 안에서 옷을 빨지 말라.
48) 사미가 변소(舍後)에 가는 데 열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대소변을 하고자 할 때는 곧 가야 한다.
둘째 갈 때에는 좌우로 두리번거리며 돌아 보지 말라.
셋째 변소에 가서는 세 번 손을 튕긴다.
넷째 안에 있는 사람을 빨리 나오라고 재촉하면 안된다.
다섯째 들어가고 나서 다시 세 번 손을 튕긴다.
여섯째 큰소리로 힘을 쓰(大咽)면 안된다.
일곱째 머리를 숙여 으쓱한 데를 보면 안된다.
여덟째 재(灰)나 흙 위에 낙서하거나 장난치면 안된다.
아홉째 물을 벽에 뿌리면 안된다.
열째 용변을 보고 난 뒤에 손을 씻지 않고서는 물건을 만지지 말라.
49) 다시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앉아서 앞 벽에 가래침을 뱉지 말라.
둘째 좌우로 내다보지 말라.
셋째 풀 등으로 벽에 낙서하지 말라.
넷째 불을 가지고 땅이나 벽을 태우거나 거을리지 말라.
다섯째 너무 오래 변소에 머물지 말라. 내려오고 난 뒤 설령 다른 사람을 만나더라도 인사를 하지 말고 길을 비껴서 가라.사미위의의 법식을 말하는 것을 마친다.
사미72위의에 모두 열 네 가지 일이 있다.
1) 스승과 더불어 말씀을 나누는 데 두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말대꾸를 하면 안된다.
둘째 자기 주장만 하면 안된다.2) 사미가 스승에게 예를 올리는 데 열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스승의 머리맡에 그릇이 있으면 예를 올리지 않는다.
둘째 스승이 좌선을 하고 있으면 예를 올리지 않는다.
셋째 스승이 경행을 하고 있으면 예를 올리지 않는다.
넷째 스승이 공양을 드시고 계시면 예를 올리지 않는다.
다섯째 스승이 경을 말씀하고 계시면 예를 올리지 않는다.
여섯째 스승과 서로 만나게 되면 왼쪽에서 예를 올리지 않는다.
일곱째 스승이 양치를 하고 계시면 예를 올리지 않는다.
여덟째 방에 들어가서 예를 올리려면 먼저 손가락을 세 번 튕겨야 한다. 스승이 응답이 없으면 물러가야 한다.
아홉째 스승으로부터 일곱 걸음을 떨어져서는 안된다.
열째 스승이 문을 열면 예를 올려야 한다.
3) 일찍 일어나서 방에 들어가는 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옷을 정리해야 한다.
둘째 그릇을 내 가야 한다.
셋째 소지를 해야 한다.
넷째 경의 말씀을 여쭙는다.
다섯째 필요한 물건을 드린다.
4) 삼의를 접는 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앞에서 하면 안된다.
둘째 왼쪽에서 해야 한다.
셋째 옷의 안과 겉을 알 수 있게 해야 한다.
넷째 뒤집어 접으면 안된다.
다섯째 항상 놓아 두는 곳에 두어야 한다.
5) 스승을 따라 가는 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집집마다 찾아다니면 안된다.
둘째 길에 서서 다른 사람과 함께 이야기하면 안된다.
셋째 좌우로 두리번거리며 다니면 안된다.
넷째 머리를 숙이고 스승의 뒤를 따라 가야 한다.
다섯째 단월의 집에 가면 한 쪽 측면에 서서 스승이 앉으라고 하면 앉는다.
6) 스승이 필요한 것을 공급해 드리는 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칫솔을 드려야 한다.
둘째 비누(澡豆)를 드려야 한다.
셋째 하룻밤 지난 묵은 물을 드리면 안된다.
넷째 다시 물을 길어와서 드려야 한다.
다섯째 수건을 사용한 것은 깨끗이 씻어 두어야 한다.
7) 사미가 씻는 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탑을 향해서 씻으면 안된다.
둘째 화상을 향해서 씻으면 안된다.
셋째 아사리를 향해서 씻으면 안된다.
넷째 가린 곳(屛處)에서 해야 한다.
다섯째 자기가 물을 가져와야 한다. 다른 사람이 길어 놓은 물을 가져오면 안된다.
8) 저녁에 방에 들어 가는 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침상을 소제하여야 한다.
둘째 옷을 정돈하여야 한다.
셋째 그릇을 들여놓아야 한다.
넷째 등불을 켜야 한다.
다섯째 잠자러 가라고 하면 마땅히 물러간다. 나가면 돌아서서 문을 닫아 드린다.
9) 사미가 스승으로부터 경을 받는 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옷을 정돈한다.
둘째 차수를 하고 예를 드린다.
셋째 나아가고 물러섬을 마음대로 하면 안된다.
넷째 두 발을 가지런히 모아야 한다.
다섯째 공손하게 몸을 약간 굽혀야 한다.
10) 사미가 스승에게서 삼의를 드리는 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손을 깨끗이 씻어야 한다.
둘째 안타위(安陀衛;安陀會)를 드린다.
셋째 울다라승을 드린다.
넷째 승가리를 드린다.
다섯째 수건을 드린다.
11) 사미가 발우를 씻는 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소똥의 재를 얻어야 한다.
둘째 비누(澡豆)를 얻어야 한다.
셋째 땅에서 7寸정도 떨어지게 해야 한다.
넷째 소리리가 나지 않게 해야 한다. 세 번 물을 바꾸어 헹구어내고, 물을 버리려고 할 때는 땅에 뿌리지 말라.
다섯째 잘 말리어야 한다.
12) 사미가 소지를 하는 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스승을 등지고 하면 안된다.
둘째 거슬러서 쓸면 안된다.
셋째 깨끗이 해야 한다.
넷째 자국이 남게 해서는 안된다.
다섯째 쓰레기는 바로 내다 버려야 한다.
13) 사미가 스승을 따라 단월의 집에 갔을 때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발우를 가지고 가야 한다.
둘째 수건을 가지고 가야 한다.
셋째 문을 두들겨야 한다.(當搏戶)
넷째 단월의 집에 도착하여 깨끗한 물을 찾아 발우를 씻어야 한다.
다섯째 스승이 앉으면 수건과 발우를 건네 드리고, 되돌아와서 자기의 자리에 앉는다.
14) 사미가 욕실에 들어가는 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스승보다 먼저 들어가면 안된다.
둘째 상좌 앞에 앉으면 안된다.
셋째 스승이 아직 물을 쓰지 않으시면 움직이지 말라.
넷째 등을 닦고자 하면 먼저 해 드린다.
다섯째 목욕이 끝나면 먼저 나와서 옷을 입는다.
15) 사미가 예절위의 또는 아침 저녁으로 문신과
예경하는 데 열 세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일찍 일어나서 양치하고 씻어야 한다.
둘째 의복을 정돈해야 한다.
셋째 일어나서 문신해야 한다.
넷째 스승이 안에 계셔서 나아가고자 하면 먼저 머리에 쓰고 있는 것이나 발에 신고 있는 것을 벗어야 한다.
다섯째 스승의 그림자를 밟으면 안된다.
여섯째 밖에 서 있을 때는 손가락을 세 번 튕겨서 앞에서 부르시면 안으로 들어가도록 한다.
일곱째 머리를 땅에 대고 예를 올려야 한다.
여덟째 앉으라고 말씀하시면 세 번 사양하고 앉는다.
아홉째 앉을 때는 단정해야 한다.
열째 물으시는 게 있으면 곧 대답을 하고 소리를 분명하게 해야 한다.
열한째 묻지 안으시면 가만히 있어야 한다.
열두째 일을 마치면 처음과 같이 계수(稽首)하고 물러 나온다.
열세째 방을 나왔을 때 몸을 돌려 가는 방향으로 돌아간다.
16) 사미가 스승의 조관(澡罐)을 가지는 데 열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병을 깨끗이 씻어야 한다.
둘째 언제나 있는 곳에 두어야 한다.
셋째 그릇에 깨끗한 물을 가득 채워두워야 한다.
넷째 물을 묵혀두면 안된다.
다섯째 미리 양지를 갖추어 두어야 한다.
여섯째 양지를 할 때는 법답게 해야 한다.
일곱째 씻는 병은 무릎에서 한 자(一尺) 정도 떨어지게 해야 한다.
여덟째 씻는 병을 잡을 때는 왼손으로 윗쪽을 잡고 오른손으로 받쳐야 한다.
아홉째 물을 부을 때는 양을 알맞게 조절하여야 한다.
열째 소리가 나지 않게 해야 한다.
열한째 수건은 반드시 항상 두는 곳에 있어야 한다.
열두째 수건을 가질 때는 왼쪽으로 수건을 집고 오른쪽으로 스승에게 드려야 한다.
열세째 부정한 것을 버릴 때 항상 버리는 곳에 두어야 한다.
열네째 깨끗한 땅에 뿌리지 말라.
열다섯째 수건을 사용하고 나서는 다시 항상 두는 곳에 걸어 놓아야 한다.
17) 물 뿌리고 침상을 털고 닦는 데 여덟 가지 일이 있다.
첫째 항상 어른쪽을 향하도록 한다.
둘째 등지고 하면 안된다.
셋째 땅에 물을 뿌릴 때 물의 다소를 헤아려 가볍게 뿌려야 한다.
넷째 쓸어 내는 쓰레받기(糞箕)를 사용할 때는 자기쪽을 향하도록 한다.
다섯째 쓰레기는 항상 정해진 곳에 버리도록 한다.
여섯째 침상과 자리를 털고 닦아낸다.
일곱째 이부자리와 옷을 잘 접어 갠다.
여덟째 침상을 쓸고 닦을 때 소리가 나지 않게 한다.
18) 스승의 음식을 가지는 데 열 네 가지 일이 있다.
첫째 깨끗한 수건을 갖추어 둔다.
둘째 음식을 내어 드리려고 할 때(進食)는 모두 두 손으로 받들어 드리고 내린다.
셋째 곧 바로 나아간다.
넷째 꿇어앉아서 스승에게 드린다.
다섯째 길 가운데서 다른 사람과 웃거나 말하면 안된다.
여섯째 음식을 내어 드릴 때 소리가 나게 하면 안된다.
일곱째 내어 드리는 음식은 차고 더움이 적당하도록 해야 한다.
여덟째 숟가락과 젖가락은 깨끗하게 해야 한다.
아홉째 더하는 것(行益)이 있으면 반드시 고르고 균등하게 해야 한다.
열째 머물 때는 항상 있어야 하는 곳에 있어야 한다.
열한째 단정해야 한다.
열두째 공양이 끝나면 천천히 그릇을 거두어야 한다.
열세째 차례에 따라 들어야 한다.
열네째 그릇을 씻고 물을 뿌릴 때 상법(常法) 대로 해야 한다.
19) 법의와 신을 취하는 방법에 열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왼쪽으로 윗쪽을 잡고 오른쪽으로 아래를 잡는다.
둘째 꿇어앉아서 스승에게 드린다.
셋째 가사를 접어서 갤 때 입으로 물면 안된다.
넷째 소리나게 털면 안된다.
다섯째 다시 늘 있는 곳에 두어야 한다.
여섯째 수건으로 위를 덮어야 한다.
일곱째 신을 가져오면 먼저 잘 털어야 한다.
여덟째 털 때 크게 소리 내면 안된다.
아홉째 바닥에 내어놓을 때 단정히 해야 한다.
열째 돌아오시면 항상 두는 곳에 다시 두어야 한다.
20) 발우(應器)와 물병(澡甁)을 취하는 데 여덟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먼저 잘 닦아서 깨끗하게 한다.
둘째 두 손으로 받들어 내린다.
셋째 꿇어앉아서 스승의 발우를 잡는다.
넷째 비누(皁莢)이나 콩의 가루로 씻는다.
다섯째 씻고나면 손으로 들고 말린다.
여섯째 급한 일이 있으면 갔다가 햇볕에 말려도 된다.
일곱째 혹은 불에 쪼여 말린다.
여덟째 다 말리고 나면 항상 두는 곳에 다시 두어야 한다.
21) 석장(錫杖)을 취하는 데 일곱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잘 털고 닦아서 깨끗하게 한다.
둘째 땅에 꽂아두면 안된다.
셋째 손으로 흉내내면 안된다.(不得以有所指擬)
넷째 소리가 나지 않게 해야 한다.
다섯째 두 손으로 받들어 드린다.
여섯째 꿇어앉아서 스승에게 드린다.
일곱째 끝나면 항상 두는 곳에 다시 두어야 한다.
22) 스승을 모시고 목욕이나 삭발을 하거나
아침에 법의를 입을 때 열 두 가지 일이 있다.
첫째 하는 일들은 공경스럽게 해야 한다.
둘째 차고 더운 때를 따라야 한다.
셋째 욕실을 닦아낸다.
넷째 깨끗한 더운 물을 갖추어 둔다.
다섯째 먼저 조협 · 조두 · 마유 등을 갖추어 둔다.
여섯째 미리 깨끗한 수건을 챙겨둔다.
일곱째 추우면 화롯불을 준비한다.
여덟째 다른 사람이 들어오지 않도록 단정하게 밖에 서 있는다.
아홉째 삭발을 하면 머리카락을 반드시 정해진 곳에 버려야 한다.
열째 법의를 햇볕에 쬐일 때는 마르기를 기다려야 한다.
열한째 급한 일로 갈 때는 잘 맡겨두어야 한다. 잊어버리고 가면 안된다.
열두째 일이 끝나면 항상 두는 곳에 다시 두어야 한다.
23) 향을 가지거나 꽃을 드리는 데 일곱 가지 일이 있다.
첫째 향로를 깨끗이 닦아야 한다.
둘째 묵은 꽃은 버린다.
셋째 불의 많고 적음을 잘 헤아린다.
넷째 향화를 드릴 때 상좌부터 시작한다.
다섯째 향을 드릴 때 손이 서로 5寸정도 떨어지게 한다.
여섯째 향로를 잡을 때 자기가 먼저 냄새를 맡으면 안된다.
일곱째 일이 끝나면 항상 두는 곳에 다시 두어야 한다.
24) 등불을 켜는 데 여덟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묵은 심지를 제거해야 한다.
둘째 등 심지를 잘 빗고 씻어서 깨끗하게 해야 한다.
셋째 기름이 적당하도록 잘 조절하여야 한다.
넷째 깨끗한 심지를 구해두어야 한다.
다섯째 끝나려고 하지 않을 때 자주 가서 보태어 주어야 한다.
여섯째 아침 일찍 일어나서 잘 살펴보아야 한다.
일곱째 기름이 아직 다하지 않았으면 남은 심지를 들어내어 다른 곳에 모아서 다 태우도록 한다.(油未盡當扶出餘炷聚著倚處別然令盡)
여덟째 일이 끝나면 천천히 본래의 장소에 다시 두어야 한다.
25) 꽃을 따거나 양지를 취하는 데 아홉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주인이 있는 것이면 그 주인에게 묻는다.
둘째 주인이 없는 것이면 산택수신(山澤樹神)에게 주원(呪願)을 한다.
셋째 꽃이나 양지를 취할 때 그 뿌리까지 뽑으면 안된다.
넷째 길로 해서 곧바로 갔다와야 한다.
다섯째 게으름을 피우거나 장난치면 안된다.
여섯째 설령 사람으로 해서 범하게 되더라도 다른 사람과 더불어 서로 오가는 것(交通)을 삼가야 한다.
일곱째 머리를 숙이고 안으로 스스로에게 엄격히 책려하며, 다른 이를 원망하는 마음을 갖지 말라.
여덟째 꽃을 드릴 때는 상좌부터 시작한다.
아홉째 시들은 꽃은 버린다.
26) 여러 가지 시행하는 바를
마음대로 하지 못하는 것에 열 여덟 가지 일이 있다.
첫째 가고 오는 출입에 먼저 스승에게 여쭈어야 한다.
둘째 자고 가려고 하면(宿行) 먼저 스승에게 여쭈어야 한다.
셋째 법의를 새로 만들려고 하면 먼저 스승에게 여쭈어야 한다.
넷째 새 법의를 입으려고 하면 먼저 스승에게 여쭙고 받아야 한다.
다섯째 법의를 빨려고 하면 먼저 스승에게 여쭙는다.
여섯째 삭발을 할려면 먼저 스승에게 여쭙는다.
일곱째 병이 있어 약을 복용할려고 하면 먼저 스승에게 여쭙는다.
여덟째 대중스님네와 일을 하려고 하면 먼저 스승에게 여쭙고 간다.
아홉째 사사로이 지필 등을 갖추려고 하면 먼저 스승에게 여쭙는다.
열째 경을 소리내어 읽으려고 하면 먼저 스승에게 여쭙는다.
열한째 다른 사람에게 물건을 베풀어 주려고 하면 먼저 스승에게 여쭙고 난 뒤에 받는다.
열두째 이미 물건을 베풀어 주었으면 먼저 스승에게 여쭙고, 스승이 허락한 뒤에 주어야 한다.
열세째 다른 사람으로부터 이미 빌렸으면 하나하나 먼저 스승에게 여쭙고, 스승이 허락한 뒤에 주어야 한다.
열네째 다른 사람으로부터 빌리고자 하면 모두 스승에게 여쭙고 스승이 허락하면 갈 수 있다.
열다섯째 여쭈어 보려고 하면 먼저 옷매무새를 정돈하고 머리 조아려 예를 한다.
열여섯째 허락하시거나 허락하시지 않거나 모두 공경히 머리 조아려 예를 올린다.
열일곱째 알고자 하는 바를 모두 다 말씀 드린다.
열여덟째 어떤 대답이 있더라도 원망하는 마음을 품으면 안된다.
27) 스승을 따라 갔다가
먼저나 나중에 돌아 오는 데 열여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옷을 정돈한다.
둘째 말씀하시는 바를 잘 알아 대답을 하고, 석장이나 수건 등을 가지고 따른다.
셋째 스승의 뒤쪽을 따른다.
넷째 스승의 그림자를 밟지 않는다.
다섯째 앞에 가면서 석장을 가지고 장난치면 안된다.
여섯째 길을 가는 도중에 다른 사람과 이야기 하면 안된다.
일곱째 스승이 허물이 있어도 비방하면 안된다.
여덟째 스승이 만약 가지고 가야할 것이 있어서 돌려 보내면 그 오는 길을 잘 찾아야 한다.
아홉째 곧 함께 가야 한다.(卽當如共敎行)
열째 오래 머무르면 안된다.
열한째 스승이 단월을 위해 경을 말씀하시고 계시면 곧 계수하며 절도있게 받들어 받아야 한다.
열두째 저물게 되면 빨리 돌아와야 한다.
열세째 단월의 집에 유숙하면 안된다.
열네째 돌아오면 인사를 드리고 다른 일을 여쭙고 의복을 정돈한다.
열다섯째 오체투지로 머리 조아려 예를 올린다.
열여섯째 스승에게 예를 올리고 난 뒤 다른 일을 평소와 같이 한다.(禮師自如常法)
28) 혼자서 장례식에 가거나
병 문안을 가는 데 아홉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주인의 문에서 나아가고 물러서는 위의에 다른 자리가 있으면 앉고, 설령 다른 자리가 없으면 섞여서 앉으면 안된다.
둘째 그 자리가 보이면 바로 앉지 말고 단정히 꿇어앉아야 한다.(當視其座席無犯宜跪端座)
셋째 사람들이 경을 물으면 마땅히 때를 알아서 말해야 한다.
넷째 삼가 때 아닌 설법을 하지 않아야 한다.
다섯째 주인이 음식을 내오면 비록 때 아닌 법회의 음식이라도 그 위의의식(儀軌)을 잃지 않도록 해야 한다.
여섯째 때에 맞게 되돌아 와야 한다.
일곱째 밤에 다니면 안된다.
여덟째 만약 저녁에 촉박하고 비바람이 심할 때는 편의에 따라 마땅하게 해야 한다.
아홉째 끝나고 나면 종전과 같이 한다.
29) 도로에서 스승과 서로 만나게 되면 여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먼저 의복을 정돈한다.
둘째 가죽신을 벗는다.
셋째 스승에게 예를 올릴 때 발 아래에 머리를 조아린다.
넷째 몸은 스승의 뒤를 따른다.
다섯째 스승이 만약 스스로 따로 가시면 머리를 조아려 인사하고 절도 있게 받든다.
여섯째 비록 스승과 더불어 서로 따르지 않더라도 행하는 예절은 반드시 평소와 같이 해야 한다.
30) 대중이 밥을 먹는 데 열여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건추(揵椎)의 소리를 들으면 곧 의복을 정돈한다.
둘째 탑 아래에 가서는 가죽신을 벗는다.
셋째 머물 때는 반드시 단정하고 엄숙해야 한다.
넷째 스승의 뒤를 따르면서 머무는 곳에 다달으면 죄미치는 것이 있더라도 웃으면서 말하면 안된다.(若從師後到便位住愼勿言笑有所及)
다섯째 상인(上人)이 경을 설하거나 축원을 할 때 모두 공경하고 위의를 잃지 않도록 해야 한다.
여섯째 처음 먹기 시작할 때 먼저 위아래를 우러러 살펴보아야 한다.
일곱째 음식이 대중 앞에 없으면 대중의 뒤에 먹지 않는다.(食無衆人前食止無後衆)
여덟째 음식의 좋고 나쁨을 말하면 안된다.
아홉째 너무 많이 먹거나 적게 먹으면 안된다.
열째 너무 크게 뭉쳐서 삼키면 안된다.
열한째 발우 안에 어지럽게 비비면 안된다.(不得大撓刮鉢中)
열두째 상(案) 위를 젖가락으로 두드리면 안된다.
열세째 먹으면서 더 달라고 하면 안된다.
열네째 음식을 마음대로 개에게 떼어주면 안된다.
열다섯째 행익이 왔을 때 음식이 필요없다고 말하면 안된다.
열여섯째 이미 배가 부르면 손으로 사양하는 뜻을 나타내어야 한다.
31) 대중이 설경(說經)하는 데 열 세 가지 일이 있다.
만약 법회에서 경을 설할 때 온실(溫室)이나 청량실(淸凉室) 또는 욕실(浴室)에 있으면
첫째 의복을 정리한다.
둘째 심상하게 바라보며 바로 나아간다.
셋째 가는 도중에 다른 사람들과 웃으며 말하면 안된다.
넷째 순서에 따라 어른에게 예를 올린다.
다섯째 물러나서 자리에 들어간다.
여섯째 상좌가 경을 설하면 곧 자리에 앉는다.
일곱째 앉을 때는 반드시 단정하고 엄숙해야 한다.
여덟째 소란스럽게 이야기하면 안된다.
아홉째 큰소리로 기침하거나 가래침 뱉으면 안된다.
열째 예율(禮律)을 어기거나 깨끗한 곳에 침 뱉지 말라.
열한째 경을 설할 차례가 되면 곧 설하여야 한다.
열두째 대중에서 차출되어 높은 자리에 오르게 되면 먼저 행동거지를 자세히 살펴서 위의를 잃지 않도록 해야 한다.
열세째 만약 앉아 있는 가운데 위의를 잃음이 있으면 나쁜 것은 막고 좋은 것은 드러내어야 하며, 굳이 허물을 드러내지 않도록 해야 한다.
32) 다시 대중이 설경하는 데 열 세 가지 일이 있다.
만약 아침 저녁 행례(行禮)의 당번 차례가 되면
첫째 건치(揵椎)의 소리를 들으면 미리 향화(香火)를 갖춘다.
둘째 향을 건네 주는 것은 앞에서 말한 바와 같다.
셋째 차례에 맞게 정리한다.
넷째 상석(牀席)을 깨끗이 털고 닦는다.
다섯째 물뿌리고 소지하는 것을 여법하게 한다.
여섯째 만약 법회를 마치고 나가면 분명히 받아서 단월이 모든 것을 사용하게 건네어 준다.
일곱째 일이 끝나서 다 받았으면 처음과 같이 하게 한다.
여덟째 문의 열쇠는 서로 건네어 아침 저녁 열고 닫는 것이 한결같이 심상하도록 해야 한다.(門鑰相付朝關晩開一以爲常)
아홉째 다른 객이 있으면 스승 주변에서 필요한 것을 듣고 건네 드려야 한다.
열째 객이 머물고 있으면 의복을 정돈하고 그 위치에 항상 머물러 있어야 한다.
열한째 물으시는 것이 있으면 곧 바로 대답을 하고 소리를 분명하게 해야 한다.
열두째 머물고 있을 때는 반드시 단정하고 엄숙해야 하며 위의를 잃으면 안된다.
열세째 만약 볼일이 있어 잠시 자리를 비우게 되면 다른 이를 자신의 임무를 대신하게 부탁을하여, 빈 곳에 거듭 부르게 하지 말라.(若欲暫出輒者令人自代無令處空重呼).
33) 당직날(直日) 영지(領知)한 뒤에 열 가지
만약 직일이 되면 본보기에 여러 가지 것의 방법이 있는대로 처리한다.(若爲直日儀軌所修其有衆事功夫)
첫째 탑을 일으킨다.
둘째 강당에 스님네게 여러 가지 일을 시설한다.
셋째 만일 불상을 만들면 항상 일찍 일어나서 일을 살펴 안다.(若作佛像常早起憂識事)
넷째 숫돌·도끼·톱 등을 필요에 따라 알맞게 사용하고 난 뒤 반드시 본래의 자리에 갖다두어야 한다.
다섯째 그리는 물감이나 아교 먹(墨) 등을 얻을 수 있는 대로 미리 갖추어 두어 때에 임하여 모자라지 않도록 한다.
여섯째 끝나고 난 뒤 항상 있던 곳에 다시 모아두어야 한다. [경본에 원래 일곱 번째가 없다.]
여덟째 영수하는 것을 잘 헤아려 분명하게 하고, 건네 줄 때 차질이 없도록 한다.
아홉째 저자에서 구하고자 하는 것이 있으면 모두 마마제(摩摩帝 vihāra-svāmin;寺主·知事)에게 묻는다.
열째 사용하고 난 나머지는 잘 진열하여 본말(本末)이 있도록 한다.
34) 혼자서 분위(分衛 piṇḍapāka;托鉢·乞食)를 가는 데
열여섯 가지 일이 있다.
만약 분위를 가면 첫째 다른 사람과 함께 가도록 힘쓴다.
둘째 함께 갈 사람이 없으면 마땅히 가는 곳을 알 수 있게 해야 한다.
셋째 발우(應器)는 항상 왼쪽 옆구리 쪽으로 든다.
넷째 발우를 알맞게 띠를 두르고, 나갈 때는 밖을 향하도록 한다.
다섯째 되돌아 와서 먹을 때는 안쪽으로 향하도록 한다.
여섯째 다른 사람의 문에 다달으면 집안의 정황을 잘 살펴야 한다.
일곱째 집에 남자가 없으면 문안으로 들어가지 말라.
여덟째 앉으려고 하면 먼저 자리를 잘 살펴야 한다.
아홉째 자리에 칼 등의 무기류가 있으면 앉지 말라.
열째 자리에 보석류가 있으면 앉지 말라.
열한째 설령 여인의 옷이나 장신구 등이 있으면 앉지 말라. 이런 것이 전혀 없으면 앉아라.
열두째 주인이 음식을 베풀면, 열
세째 먹는 이는 곧 주원(呪願)을 해야 한다.
열네째 음식의 좋고 나쁨을 물으면 안된다.
열다섯째 음식을 먹기 전에 경을 설하지 말라.
열여섯째 비록 경을 설하고자 해도 설할 때인지 아닌지를 잘 알아야 한다.
35) 저자에서 구하는 것이 있을 때 아홉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머리를 숙이고 바로 갔다가 바로 돌아와야 한다.
둘째 별다른 것을 보더라도 자세히 살피지 말라.
셋째 귀하고 천함을 다투지 말라.
넷째 여주인의 가게에 앉지 말라.
다섯째 만약 다른 사람으로 해서 범하게 되면 방편으로 그곳을 피하고, 바로 가서 구하지 말라.(若爲人所犯方便避之, 勿從求直)
여섯째 賣買若於誠諦送直無言來取致及反覆.
일곱째 이미 모갑의 물건을 사기로 허락하였으면 비록 다시 천하게 보이더라도 이것을 버리고 저것을 취하여 주인의 원망을 사지 않도록 해야 한다.
여덟째 만약 네 무리의 사람들이 매매하는 것을 보면 바로 머물지 말고, 법이 그렇지 않다고 말하여야 한다.
아홉째 지나치게 짊어져서 보임(保任)이 없게 하면 안된다.
36) 비구니 절에 가면 아홉 가지 일이 있다.
스승이 만약 비구니 절에 가게 하면 첫째 함께 간다.
둘째 탑을 돌며 예를 올리는 것은 평소의 법식과 같다.
셋째 다른 자리가 있으면 앉고 다른 자리가 없으면 앉지 않는다.
넷째 질병이 있어 경을 묻고자 하면 마땅한 바의 말을 하도록 한다.
다섯째 때 아닌 설법을 하지 말라.
여섯째 다른 사람의 잘못을 뒤집지 말라.
일곱째 만약 앉아서 귀하고 특이한 옷이나 수건이나 신을 베풀어 주면 하나라도 받으면 안된다.
여덟째 되돌아 와서는 그들의 좋고 나쁨을 말해서는 안된다.
아홉째 다른 사람에게 단지 누가 공양을 했다고 말하면 안된다.
37) 경을 강하거나 외우는 데 여덟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반드시 소견의 부동이나 혹은 좌우에 각각 익히는 것이 있는지를 자세히 살펴야 한다.(必令詳審所見不同或左右各有所習)
둘째 온전히 알지 못하면 이것이 옳고 저것이 그르다고 말하지 말라.
셋째 동학이 서로 다투면 화해하게 하고, 나에게 치우치게 하지 말라.
넷째 여러 가지 일을 할 때 자신의 공을 스스로 드러내거나 자랑하지 말라.
다섯째 대사문(大沙門)이 계를 설하시면 그것을 엿보지 말라.
여섯째 자기에게 허물이 있는 줄 알면 대중에게 참회와 함께 화해의 말을 해야 한다.
일곱째 스승이 만약 아무개가 그대에게 허물이 있다고 말한다고 물으시면 곧 그것을 사실대로 말씀 드려야 한다.
여덟째 은폐하여 허물을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38) 논하여 말하는 데 열 가지 일이 있다.
항상 밤낮 세 때에 경 외우고 행도(行道)하는 데 첫째 의복을 정돈한다.
둘째 경행(經行)은 반드시 평소에 하던 곳이어야 한다.
셋째 항상 가운데에서 한다.
넷째 강당이나
다섯째 탑 아래에서나,
여섯째 식당에서,
일곱째 가죽신은 신지 말라.
여덟째 나막신을 신지 말라.
아홉째 석장을 가지고 들어가지 말라.
열째 누워서 송경을 하지 말라.
39) 외우면서 경행하는 데 열 가지 일이 있다.
방 안에서 상법대로 경행을 하되,
첫째 침식이 각각 다르므로 서로 섭입(涉入)하지 않도록 한다.
둘째 경을 받아 읽거나,
셋째 경의 뜻을 논하거나,
넷째 질병에 문신(問訊)하거나,
다섯째 방편으로 가거나,
여섯째 위급한 일이 아니면 말하지 말라.
일곱째 다른 사람의 잘못을 드러내지 말라.
여덟째 서로 돌아가며 평론하지 말라.
아홉째 취하거나 나누어 줄 때 반드시 분명하게 해야 한다.
열째 기약을 어겨 신용을 잃지 않도록 해야 한다.
사미십계법병위의 끝.
356개의 댓글
当日はまず講演ホールにてご挨拶のスピーチを行い、その後はお客様に6つの展示ブースを自由に訪れていただき、各ブースではテキスト/音声チャットによりシャノン担当者が対応しました。 “平岡祐太演じるルポライターが亡き妹の事件の謎に推理で挑む! 新・浅見光彦シリーズ「後鳥羽伝説殺人事件」”.無理はない。その子の頭の上の光りようと云ったらない。今にお前方その様子を見たり聞いたりして、何もかも感心してしまうだろう。
父は、岩手県奥州市出身の元参議院議員増田盛(自由民主党)。 どうやら、悪魔に憑依されたのは年の離れた兄のほうらしく、アモルト神父は妹に”主の祈り”を繰り返し唱えるよう優しくお願いします。 『第59期 有価証券報告書』 ダイエー、2010年5月26日。 『第62期
有価証券報告書』 ダイエー、2013年5月22日。 『第55期 有価証券報告書』 ダイエー、2006年5月25日。 『第60期 有価証券報告書』 ダイエー、2011年5月25日。琉球新報 (琉球新報社).
『親の忌服だもの、四週間位は休ませて貰ふサ。 そこは天長節の式場に用ひられた大広間、長い腰掛が順序よく置並べてあるばかり、平素(ふだん)はもう森閑(しんかん)としたもので、下手な教室の隅なぞよりは反つて安全な場処のやうに思はれた。昭和天皇』朝日新聞社、2008年3月。東スポWeb (東京スポーツ新聞社).福岡貯蓄銀行が解散合併し、株式会社福岡銀行を設立。 “スターダム運営会社の子会社化完了のご報告”.株式会社ブシロード.菅林会長が110日ぶりの”大会再開”を報告!
長年にわたって黒悪魔と戦ってきたが、自分の命が残り僅かなことを悟って真吾を招き、対黒悪魔の切り札として開発した「魔壊砲」を託す。 またゲームエンジン(Unity/Unreal Engine)を使った3D/xRシステム開発をご希望の方はこちら。 「Halo at 四畳半、TVドラマ『江戸前の旬season2』主題歌を書き下ろし!神戸市交通局・ ゲゲゲの鬼太郎などに登場する死神のような顔をしている。 “数々のアニメに登場した「MacBookっぽいPC」。家族は登場していないが、メフィストをおじさまと呼んで親しくしていた。 メフィスト二世に吸い付いて苦しめたが、ヨナルデが培養した「妖怪かび」を浴びて分解されてしまった。体は非常に丈夫で、メフィスト二世の攻撃やガソリンの炎も通用しなかったが、鉄を錆びさせる塩水には弱く、海水を浴びせられて骨になり退治された。
55年体制が崩壊した中、自民党は単独での再建を諦めて、創価学会を後ろ盾とする公明党との自公連立政権が始まった。 1993年7月15日、青島ビールの青岛啤酒股份有限公司が中国大陸の企業として初めて香港証券取引所に上場した。祖父の代からの「柳寿司」の常連客であるヒラマサの協力、天才的な発想と努力で、旬はメキメキと腕を上げて行き、最終的に鱒之介の直弟子である直哉からも寿司職人としての才能を認められたことで、鱒之介は旬の高校卒業を待って「柳寿司」三代目としての本格的な修業をさせることを決意するのだった。
2021年8月13日閲覧。 2021年8月6日閲覧。 2021年5月18日閲覧。 また、会場内には、商談ブースやセミナールームなど、用途に応じた部屋を作成できるので、ニーズに応じたイベントを行えます。 リアルでは難しい会場装飾なども、メタバースなら費用を抑えて理想の会場を設営できます。元々はイオン本社の持分法適用関連会社であったが、2022年3月1日付で連結子会社となり、傘下にフジ・引用元:夏目賢一「1950-60年代日本における産学協同の推進と批判」『科学技術社会論研究』13号、2017年、33-24頁。
双方の玉将が縦に並んでいる際に、玉頭で起こる戦い。適量の飲酒は心身の緊張感をほぐしてストレスを和らげたり、動脈硬化を予防する善玉コレステロールを増やす、健康増進に役立つなど、「酒は百薬の長」ともいわれます。 つまり、「酒は百薬の長」を言い訳にした飲みすぎは、病気を引き起こす「害」にもなりかねないということです。 そこで家族は、飲酒をしていない状態のときに本人がアルコール依存症であることを自覚させ、1日も早く本人を専門医に受診させること、医師の指導の下、断酒と治療薬(断酒時の離脱症状を和らげるための睡眠薬や抗不安薬)による治療を継続することが必要となります。
その後、学習塾事業は高川予備校・ 4(文庫版)”. 小学館. 2021年8月からはB5サイズの完全版コミックス『ご注文はうさぎですか? →詳細は「ご注文はうさぎですか? 7 ご注文はうさぎですか? 4 ご注文はうさぎですか? 3 ご注文はうさぎですか? 8 ご注文はうさぎですか? 11 ご注文はうさぎですか? 9 ご注文はうさぎですか? 5 ご注文はうさぎですか? 10 ご注文はうさぎですか? 12 ご注文はうさぎですか? ご注文はうさぎですか? チマメ隊 アンソロジー 〜Happy Diary! 2 ご注文はうさぎですか? 1 ご注文はうさぎですか? 6 ご注文はうさぎですか? 2005年に「舞台の仕事に専念したい」との本人の意向で、一時的に降板となるが、途中で復帰しており、ほぼすべてのシリーズに出演した。
私が参加した2015年のfreeeのエンジニアサマーインターンは、参加人数3人、実施期間3日間で、freeeが提供する「会社設立freee」の機能追加や改善タスクをそれぞれがこなし、出したプルリクエストをメンターにレビューしてもらうという内容でした。承継し、100%子会社としてAxcelead Drug Discovery
Partners株式会社が発足。 「および」は種類や性質が同じものをつなぐ言葉なのに対し、「並びに」は種類や性質がことなるものをつなぐ際に使われるようになっています。同義の言葉として「もしくは」もありますが、こちらは「または」よりあらたまった表現となっています。 こちらも漢文訓読に由来する語となっています。 そして不可欠の要素は、俺と酒を飲んで見劣りのしないようなやつを選んでくれ」と注文を付けた。
「および」は複数のことがらを並べて挙げるだけですが、「または」の場合は、その中から1つ選ぶ場合に使われるようになっています。 インドネシア、北カリマンタン州タラカンを出港した船が沖合で転覆。
終盤では校長の父親が老人ホームに入居する事を桃子が勧めると聞いていた波江に激怒され反省し、「おばあちゃんと幸せになってほしい」と校長に伝えた桃子の気持ちを波江が知り関係は良好になる。 めぐみという人物が登場した上一緒に暮らすはずだった母親は他の男と結婚したと知らされ、父親との父子関係は複雑になる。前シリーズにおける里香に当たる人物ではあるが、最後まで春子に面と向かって「お母さん」と呼ばなかった彼女とは違い、継父である光一郎を「お父さん」と呼び父親として認めるのが早かったり、中盤や後半でかおり、祐太、波江、花など他者を思いやる面も多く見られた。光一郎の母、花と祐太の祖母。
以降は多メニュー展開を行い、牛丼販売再開後も継続している。 2001年(平成13年)3月に10%を出資し、2007年(平成19年)9月20日に業務提携を行い、併せて33.34%まで株式を取得して関連会社化。株式会社石焼ビビンパ – 2000年(平成12年)12月に18%を出資後、2003年(平成15年)9月に増資を引き受け子会社化(非連結)。 しかし、京樽が寿司事業など中核部門への経営資源集中戦略をとることを理由に、2010年(平成22年)9月30日付で菓子・
Hurrah! In the end I got a web site from where I can in fact take valuable facts concerning my study and knowledge.
免責金額を設定している場合、支払われる保険金は以下の通りです。火災保険に入る際には、免責金額をご自身で設定してもらいます。 あなたの火災保険の免責金額は5万円としましょう。火災保険に加入する際、多くの人は免責金額を3~5万円に設定しています。 その場合、被害金額が少ないと火災保険の出る幕はありません。
しかし免責金額とは何か、よく分からない人も多いでしょう。損害額が6万円ならば、5万円を引いた1万円が保険金として受け取れます。
“東映株式会社 在宅勤務について”. “スルガ銀行株式会社との業務提携解消に関するお知らせ-ゆうちょ銀行”.東映株式会社.
1 オレが社長で仮面ライダー|仮面ライダー公式ポータルサイト
仮面ライダーWEB”. “. 仮面ライダーゼロワン.
“スタッフ|仮面ライダーゼロワン|テレビ朝日”.
テレビ朝日. 2019年8月18日閲覧。 「仮面ライダー新作「ゼロワン」はAIがテーマ “AI社長”が悪を討つ NIIが監修」『ITmedia NEWS』2019年7月17日。 「仮面ライダーゼロワン」に大和田伸也が本人役で出演 サブタイの「オレは俳優、大和田伸也」がただの自己紹介でネット大盛り上がり
ねとらぼ 2019年10月27日、同28日閲覧。
法令上の規制により、お客さまのお勤め先や、ご融資のお申込み状況等によっては、生命保険をお申込みいただけない場合があります。一般社団法人国際物流総合研究所.
カーンが滞在する建物の前に立っているが、マシュマーたちが出撃したあとの去就は不明。 また、過去に存在した法人も一部含む。 テレビ版第26話でマーシーとラサがベルファスト基地を急襲した際、連邦軍防衛部隊が発射した魚雷をゴッグが光線で迎撃する描写がある。 いつか新橋で朝までコースの〆には、また築地市場を訪れたいですね。西宮甲子園九番町店(兵庫県西宮市)- 阪神タイガースとのコラボ店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