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사미 십계를 받아 어진 수도인(道人)이 되었다.
다음에는 마땅히 해야할 것을 가르치노니, 점점 작은 것에서부터 조금씩 일어 나는 것이라 마땅히 몸가짐과 해야 할 일을 알아야 한다.
스승(和尙)의 나이와 삼사(三師)의 이름을 알아야하며, 처음 계 받던 날짜를 알아야 한다. 화상을 모시는데 몇 가지 일이 있는지 알아야 하며, 또 아사리를 따르며 모시는데 몇 가지 일이 있는지 알아야 한다.
또 치솔과 씻을 물을 드리는데 몇 가지 일이 있는지 알아야 하며, 또 가사를 드리고 받거나 바루를 들어 드림에 몇 가지 일이 있는지 알아야 하며 또 지팡이를 잡고 신발을 가지는 데 몇 가지 일이 있는지 알아야 한다.
화상과 아사리와 함께 공양청에 응할 때, 왕궁에 갔을 때, 거사의 집(迦夷羅越家)에 갔을 때, 바라문의 집에 갔을 때, 늘어 앉아서 밥 먹을 때, 혼자 앉아서 밥먹을 때, 여럿이 성에 들어 가서 얻어 먹을 때, 여럿이 함께 돌아 올 때, 있던 곳에 왔을 때, 해가 질 때, 물 가에 머물러서 밥 먹을 때, 길 가에 있을 때, 나무 아래서 밥을 먹을 때, 자신이 먼저 갔다가 서로를 기다릴 때, 모아서 먹을 때, 바루를 바꿀 때, 모두 함께 밥을 기다릴 때, 일찍 먹거나 늦게 먹을 때, 먹고나서 씻고 이를 닦을 때, 바루를 씻고 걷을 때 등에 각각 몇가지 일이 있는지 갖추어 알아야 한다.
마땅히 대중 스님에게 공급하는 당번(直日)일 때 각각 몇 가지 일이 있는지 알아야 한다.
나이가 이십이 되어 비구계를 받아야 할 때 모두 다 알아야 한다. 가령 현자(사미)를 위해 비구가 묻는 것을 갖추어 대답하지 못하면 구족계를 주거나 받지 못한다.
왜냐하면 사미가 되어서 사미가 마땅히 해야할 바의 일을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사문의 일은 중대하고 매우 미묘하여 하기가 어려우니 현자 사미여, 그대는 다시 가서 더 익숙히 배워 마땅히 모두 다 듣고 알게 된 뒤에 라야 마땅히 구족계를 주리라.
그래서 그대가 사미법을 알지 못하는 것은 다만 몸의 괴로움을 살피지 못한 때문이니라. 뜻을 조복하지 않고서 도리어 구족계를 받으려 하는가. 이제 그대에게 구족계를 주면 사람들이 부처님의 법은 행하기도 쉽고, 사문이 되기도 쉽다고 하여, 부처님 가르침의 매우 미묘함과 죄복의 운행과 법률의 교호를 알지 못하고 몇일 사이에 그것을 보려고 할 것이다.
이러한 까닭에 마땅히 먼저 묻는 것이니, 설령 여법하게 갖추어 대답할 수 있다 하더라도 삼사(三師)를 쉽게 얻을 수 있을 뿐이니라.1) 스승이 사미를 가르치는 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어른 스님을 공경하게 한다.
둘째 어른 스님의 이름을 부르지 않는다.
셋째 어른 스님들이 계와 경을 말씀하실 때 엿듣지 않는다.
넷째 어른 스님의 장단점을 따지지 않는다.
다섯째 어른 스님이 실수를 했을때 여기 저기 말하지 않아야 한다.
이것을 사미의 몸가짐[威儀]이라 한다.
2) 또 사미를 가르치는 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으슥한 곳에서 어른 스님을 흉보거나 욕하면 안된다.
둘째 어른 스님 앞에서 가벼이 장난하고 웃으며 그 말투와 모습과 행동 거지를 흉내내면 안된다.
셋째 어른 스님이 지나가면 일어서야하니 만약 경전을 읽거나 밥을 먹거나 대중과 일할때는 일어서지 않아도 된다.
넷째 다니다가 어른 스님과 만나면 아랫 길에 서서 그를 피하여야 한다.
다섯째 만약 희롱하고 놀릴 때 만약 어른스님을 뵈면 곧 이야기를 그쳐 들리지 않게 해야 한다.
이와 같이 마땅히 해야 할 바를 시행 해야한다.
3) 사미가 스승(和尙)을 섬기는데 열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일찍 일어나야 한다.
둘째 방에 들어 가려고 하면 먼저 문을 세번 두드려야 한다.
셋째 칫솔과 씻을 물을 준비 해드려야 한다.
넷째 가사를 드리고 물러나와 신을 드려야 한다.
다섯째 소지를 하고 씻을 물을 더 길어놓아야 한다.
여섯째 이불(被) 등 침구류를 접어 드리고, 앉으실 자리를 털어드려야 한다.
일곱째 스승이 나가셔서 아직 돌아 오시지 않았으면 방을 비우고 나가지 말며, 스승이 돌아오면 다시 가사를 받아 안으로 접어드려야 한다.
여덟째 만약에 잘못이 있어서 스승과 아사리가 꾸짖으시면 도리어 거슬러 말하면 안된다.
아홉째 스승의 말씀을 받았으면 인사(低頭)하고 물러나 생각하고 그것을 실천한다.
열째 집밖으로 나가면 문을 끌어 닫는다.
이것이 스승을 모시는 법이다.
4) 사미가 아사리를 섬기도록 가르치는데 다섯 가지가 있다.
첫째 아사리 보기를 모두 나를 보는 것 같이 해야 한다.
둘째 희롱하거나 놀리면 안된다.
셋째 설령 너를 꾸짖고 욕하더라도 대꾸하면 안된다.
넷째 너에게 더러운 그릇을 치우라고 하더라도 침을 뱉거나 싫다고 성 내면 안된다.
다섯째 날이 저물면 주물러 드려야한다.
이것이 아사리를 섬기는 법이다.
5) 사미가 아사리와 스승을 모시는 법으로,
일찍 일어나서 칫솔과 씻을 물을 드림에 여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양지(楊枝;칫솔)를 잘라 크기는 알맞게 해야 한다.
둘째 끄트머리를 잘 부수어야 한다.
셋째 씻을 때는 마땅히 깨끗하게 해야 한다.
넷째 하룻밤 지난 오래된 물은 바꾸어 두어야 한다.
다섯째 뒷물하는 병(軍持)을 깨끗히 씻어야 한다.
여섯째 물을 가득 채워 가지고 들어가서 더러운 것을 씻으면서 소리가 나지 않게 해야 한다.
이것이 칫솔과 씻을 물을 갖추어 드리는 법이다.
6) 가사를 드리는 데 네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천천히 한 손은 내밀고 한 손으로는 아래를 잡고 드린다.
둘째 차례로 아래 위를 살펴드려야 한다.
셋째 스님의 옷을 들고 바로 서 있어야 한다.
넷째는 윗옷을 스승의 어께 위에 걸처 드려야 한다.
이것이 스승에게 가사를 받들어 드리는 법이다.
7) 가사를 걷는 데 네 가지 일이 있다.
첫째는 아래 위를 잘 살펴야 한다.
둘째는 땅에 닿게 하면 안된다.
셋째 항상 걸어 두는 곳에 두어야 한다.
넷째 위를 덮어야 한다.
이것이 스승의 가사를 걷어 드리는 법이다.
8) 바루를 지니는 데 네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씻어서 깨끗하게 해야 한다.
둘째 물기를 닦고 잘 말려야 한다.
셋째 띠를 단단하게 해야 한다.
넷째 부딪히는 소리가 나게 하면 안된다.
이것이 바루를 지니는 법이다.
9) 석장을 지니는 데 네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먼지나 때를 닦아내어야 한다.
둘째 땅에 닿아 소리가 나게 하면 안된다.
셋째 스승이 방에서 나오시면 바로 드려야 한다.
넷째 스승이 나가셨다가 돌아오시면 받아 드려야 하며, 만약 함께 가거나, 대중에 들어가거나, 예불을 드리시면 또한 받아 드려야 한다.
이것이 석장을 지니는 법이다.
10) 신발을 지니는 데 네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먼저 신을 떨어야하며
둘째 잘 살펴보고 신을 가지런히 한다.
셋째 손을 씻어야 한다. 바로 가사를 가지면 안된다.
넷째 스승이 자리에 앉고 나면 신발을 가지런히 해 두어야 한다.
이것이 신발을 지니는 법이다.
11) 함께 공양 청을 받아
스님과 함게 앉아서 공양할 때 네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앉을 때 스승에게서 여섯자 떨어져 앉아야 한다.
둘째 시주를 위하여 스승께서 법을 설하고 나면 바루를 드려야 한다.
셋째 스님보다 먼저 먹으면 안된다.
넷째 스님께서 공양하고 나면 일어서서 바루를 걷어드리고 자신이 다가가야 한다.
이것이 함께 앉아서 밥 먹는 법이다.
12) 따로 앉아서 공양하는 데 네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스님 곁에 서있어야 한다.
둘째 스님께서 먹으러 가라 하면 가서 앉는다.
셋째 앉을 때는 이마가 땅에 닿도록 인사를 한다.
넷째 밥을 먹을 때 웅크려 앉아 자리 위에서 희희덕거리면 안된다. 공양을 다 먹고나면 스승 곁에 가서 서 있어야 한다. 스승이 돌아가서 앉아라고 하면 앉는다.
이것이 따로 앉아서 공양하는 법이다.
13) 성에 들어가서 걸식을 하는 데 네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스승의 발우를 들어 드려야 한다.
둘째 스승의 뒤를 따르되 스승의 그림자를 밟지 말아야 한다.
셋째 성밖에서 바루를 스승에게 드려야 한다.
넷째 성에 들어가 따로 가고 싶으면 당연히 스승에게 말씀드려야 한다.
이것이 걸식하는 법이다.
14) 함께 갔다가 돌아 왔을 때 네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먼저 서서히 문을 열고 방석을 내어서 깔아 드려야 한다.
둘째 스승이 손을 씻고 나면 자신도 씻는다.
셋째 스승의 바루를 드리고 물러나서 손을 맞잡고[叉手] 선다.
넷째 미리 비누(澡豆)와 수건을 준비 한다.
이것이 돌아와서 밥먹는 법이다.15) 물가를 지나서 공양하는 데 네 가지 일이 있다.
첫째 깨끗한 땅을 구해야 한다.
둘째 풀을 구해서 자리를 만들어야 한다.
셋째 물을 떠서 스승이 손을 씻고 나면 다시 자신의 손을 씻고 나서야 스승에게 바루를 드린다.
넷째 스승이 공양하라 하거든 인사 하고 물러나서 앉는다.
이것이 물가에서 공양할 때의 법이다.
16) 그늘진 나무 아래 머물며 공양하는 데 네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바루를 나무 위에 매달아서 보관하고, 나뭇잎을 모아서 자리를 만들어 드려야 한다.
둘째 물을 떠다 가 스승이 손을 씻게 해드려야 하며, 가령 물을 얻을 수 없으면 깨끗한 풀을 스승께 드려야 한다.
셋째 바루를 거두어서 다시 스승에게 드린다.
넷째 미리 깨끗한 풀을 준비 했다가 스승의 바루를 씻어드리고 난 뒤, 도리어 풀이 마르면 바루를 털어 드리고 물러난다.
이것이 나무 아래에서 공양할 때의 법이다.17) 다니다가 길에서 서로 기다리는 데 세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바루를 깨끗한 땅에 놓고 인사를 다른 일에서와 같이 드려야 한다.
둘째 날이 이른지 저무는지, 빨리가면 돌아 갈수 있는지, 도중에 머물러야하는지 살펴야한다.
셋째 스승의 바루를 받아서 같이 들고 스승의 뒤를 따라야한다.
이것이 길에서 서로 기다릴 때의 법이다.18) 바루의 공양을 합하는 데 두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스승의 바루에 락(酪)이나 수(酥)나 장(漿)이 없으면 자신이 얻은 바루의 밥에서 골라 스승에게 드리며, 스승이 가져 가시지 않으면 가만히 물러나 앉는다.
둘째 천천히 스승의 바루에서 반 쯤의 공양을 덜어서 깨끗한 땅의 나뭇잎 위에 놓고 물러나서, 자신의 바루에서 반 정도의 공양을 덜어서 스승의 바루에 떠 옮기고 물러난다.
이것이 발우의 공양을 합하는 방법이다.
19) 발우의 공양을 바꾸는 데 세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스승이 발우에 좋은 것을 얻었으나, 자신은 얻지 못했더라도 스승에게 드린다.
둘째 스승이 바루의 공양을 바꾸자고 하면 사양하고 받지 않는다.
셋째 스승이 굳이 바루를 바꾸자 하시면 다시 더한 찬을 취한 다음 곧 바루를 닦아서 스승에게 드린다.
이것이 바루의 밥을 바꾸는 법이다.20) 스승과 마주앉아서 밥 먹을 때 세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스승에게 바루를 드리고 나서 물러나 앉아서 먹는다.
둘째 자주 스승이 드시려 하는 것을 살펴서 떠 드린다.
셋째 음식을 너무 빨리 먹거나 다 먹고 난 뒤 나중에 일어나면 안되며, 마땅히 다시 무엇이 필요하십니까?고 여쭈어야 한다. 스승이 가지고 가라고 하면 곧 가지고 물러나야 한다.
이것이 마주 앉아서 공양할 때의 법이다.
21) 스승이 먼저 먹고 난 뒤에 공양할 때 세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스승에게 바루를 드리고 나서 물러나 가려진 곳에 있다가 스승이 부르는 소리를 들으면 곧 간다.
둘째 미리 손 씻을 물을 한쪽에 준비 해둔다.
셋째 스승이 밥을 먹고나면 손을 씻도록 준비해 드리고 물러 서있다가, 스승이 “가서 밥을 먹어라”고 하시면 곧 예를 드리고 물러나서 밥을 먹는다.이것이 스승이 먼저 먹고 난 뒤에 공양할 때의 법이다.
22) 공양을 하고 난 뒤에 발우를 씻는 데 세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이를 닦고 나서 먼저 스승의 발우를 씻어 깨끗하게 하여 나뭇잎 위에 두어야한다.
둘째 물러나 자신의 바루를 씻어서 또한 나뭇잎위에 두고, 먼저 스승의 바루를 손으로 닦아 깨끗하게 하고 마르면 주머니 안에 넣어 스승께 드린다.
셋째 다시 자신의 바루를 닦아서 마르면 또한 주머니 안에 넣어서 머무는 곳에 걸어 둔다.
이것이 바루를 씻어 말릴 때의 법이다.
23) 바루를 씻으러 갈 때 세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스승이 “나는 지금 아무 곳에 있는 아무개 현자에게 가려고 하니, 너는 먼저 돌아가거라”고 말씀하시면,
둘째 이마를 땅에 대며 인사를 하고 곧 물러나야 한다.
셋째 혼자 되돌아 가면서, 다른 마을을 장난치며 지나치면 안되고, 곧바로 돌아가서 경을 읽어야한다.
이것이 바루를 씻으러 갈 때의 법이다.
24) 사미가 대중에 들어 가는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잘 배워야 한다.
둘째 여러가지 일을 익혀야 한다.
셋째 대중에게 잘 공급해야 한다.
넷째 어른스님께 필요한 물건을 잘 챙겨드려야 한다.
다섯째 비구계를 받으려 할 때 삼사(三師)를 쉽게 얻을 수 있다.
25) 다시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부처님께 예를 드려야 한다.
둘째 비구 스님들에게 예를 드려야 한다.
셋째 위 아래의 자리에도 인사를 해야 한다.
넷째 어른 스님이 앉으실 자리를 남겨 두어야 한다.
다섯째 자리 다툼을 해서는 안된다.
26) 다시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자리 위에서 서로 멀리 부르거나 웃고 말하면 안된다.
둘째 자주 일어거나 나가면 안된다.
셋째 만약 대중 가운데서 “사미 아무개야”하고 부르면 곧 일어 나서 대답한다.
넷째 대중 스님들의 말씀을 잘 따라야 한다.
다섯째 소임보는 스님이 할 일이 있다고 부르면, 마땅히 돌아가서 스승에게 말씀 드려야 한다.
이것이 대중에 들어 갈 때의 법과 할 일이다.
27) 사미가 당번이 되었을 때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대중 스님의 물건을 아껴야 한다.
둘째 길 가운데(當道)서 일을 하면 안된다.
셋째 하던 일을 마치지 않고 중간에 일어나 버리고 떠나면 안된다.
넷째 만약에 화상과 아사리가 부르면 그냥 가면 안되고, 마땅히 소임보는 스님에게 말씀을 드려야 한다.
다섯째 소임보는 스님이 시키는 대로 따라서 어김이 없도록 해야 한다.
이것이 당번을 설 때의 법이다.
28) 채소를 고르는 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뿌리는 잘라야 한다.
둘째 끝을 가지런히 해야 한다.
셋째 푸른 색과 누런 색이 섞여 있게 하면 안된다.
넷째 채소를 씻을 때는 세번 물로 씻어서 깨끗이하고, 세번 물을 턴다.
다섯째 일을 하고 나면 반드시 바닥을 쓸어서 깨끗하게 한다.
29) 다시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대중 스님의 물건을 마음대로 쓰면 안된다.
둘째 만약 쓸 곳이 있어서 쓰려고 하면 마땅히 소임보는 스님에게 말해야 한다.
셋째 있는 힘을 다하여 대중의 일을 해야 한다.
넷째 먼저 식당을 쓸고 자리를 편다.
다섯째 아침 저녁으로 소제를 하고, 변소[舍後]에 물을 채우고, 재(灰土)를 버린다.
30) 물을 길어 옴에 열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손이 더러우면 바로 물을 퍼면 안된다. 먼저 손을 씻어야 한다.
둘째 두레박을 세게 던져서 우물에서 소리가 나게 하면 안된다.
셋째 서서히 두레박을 내려야 한다. 심하게 흔들어 좌우에 부딪치면서 소리가 나게 하면 안된다.
넷째 줄 끝이 꺼꾸로 우물에 들어가서 소리가 나게하면 안된다.
다섯째 신을 가지고 우물의 난간으로 올라가면 안된다.
여섯째 두레박으로 솥에 물을 부으면 안된다.
일곱째 두레박을 땅바닥에 두면 안된다.
여덟째 그릇을 씻어서 깨끗하게 해야 한다.
아홉째 물이 들은 그릇을 들고는 천천히 걸어야 한다.
열째 물든 그릇을 가려진 곳에 두어 길을 다니는데 방해가 되게 해서는 안된다.
31) 솥을 씻는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솥의 가장자리 윗쪽을 씻는다.
둘째 솥의 안쪽을 씻는다.
셋째 솥의 허리와 배 부분(腰腹)을 씻는다.
넷째 솥의 안쪽 바닥을 씻는다.
다섯째 마땅히 세 번 헹구어 낸다.
32) 불을 지피는 데(吹竈)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쭈그리고 앉아서 불을 때면 안된다.
둘째 생나무를 때면 안된다.
셋째 젖은 나무를 때면 안된다.
넷째 썪은 나무를 때면 안된다.
다섯째 뜨거운 물을 부어서 불을 끄면 안된다.
33) 소지하는 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바람을 따라 쓸어야 한다.
둘째 땅에 물을 뿌릴 때 너무 많거나 적게 해서는 안된다.
셋째 더러운 물이 벽에 튀지 않도록 해야 한다.
넷째 젖은 데를 밟아 땅이 허물어지게 하지 말라.
다섯째 소지를 하고 난 뒤 풀을 모아서 변소에 버려야 한다.
34) 비구승이 공양을 하고 있을 때
사미가 소지하는 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항상 뒤로 물러나서 가야 한다.
둘째 손에 들고 뛰어다니면 안된다.
셋째 여섯 사람이 지나면 멈추어서 한 무리를 만든다.(過六人止作一聚),
넷째 모두 쓸고 소제하여 두루 좋게 해야 한다.
다섯째 곧 바로 자신의 손으로 소제하고 나서 가지고 나가 그것을 버려야 한다.
35) 물을 가지고 두레박을 씻거나 붓는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한 손은 위를 잡고 한 손은 아래를 잡되 바뀌지 않도록 해야 한다.
둘째 왼쪽 면을 가깝게 하여 단단히 잡고 앞을 똑바로 보아야 한다.
셋째 다른 사람의 손을 바로 보고 물을 대어야 한다. 많거나 적게 하지 말고, 다른 사람의 손 가운데에 바로 맞도록 대어야 한다.
넷째 물을 부을 때는 다른 사람 손으로부터 4寸정도 떨어지게 해야 한다. 너무 높거나 낱게 하지 말고, 서로 물의 많고 적음을 살펴야 한다. 물이 적어서 한 사람이 쓰기에도 부족하더라도 다른 사람의 손을 넘치게 하지 말라.
다섯째 손을 깨끗이 씻고나서 법답게 가사를 입어라.
36) 대야를 지니는 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대야를 끌면서 소리를 내면 안된다.
둘째 양손으로 왼쪽면을 단단히 잡아야 한다.
셋째 다른 사람 손의 높낮이를 따라야 한다. 좌우를 살피며 두리번 거리지 말라.
넷째 대야를 씻는 도중에 물이 가득차면 내다 버린다. 다른 사람 앞에 뿌리지 말라.
다섯째 다 씻고 나서는 손을 깨끗이 씻고 법답게 가사를 입어라.
37) 수건을 지니는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왼손으로 아래 끝을 잡고 오른손으로 윗쪽 끝을 잡아 다른 사람에게 건네어 준다.
둘째 두 자(二尺)정도 떨어져서 앉는다. 다른 사람의 무릎에 기대어서는 안된다.
셋째 수건을 가지고 다른 사람의 입을 가리면 안된다.
넷째 다른 사람이 손을 닦으며 아직 놓지 않았으면 수건을 잡아 당기지 말고, 다 쓰고 나면 본 자리에 두어야 한다.
다섯째 다 쓰고 나면 손을 깨끗이 씻고 여법하게 가사를 입어라.
38) 신을 드리는 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먼저 들어 속에 있는 것을 털어야 한다.
둘째 윗자리(上座)를 따라 일어나야 한다.
셋째 대야를 씻고나서 소임자(主)에게 보여 스스로 알게 한다.
넷째 왼쪽 오른쪽을 바꿔 신지 말아야 한다. 모두 하의사미(下意沙彌)에 해당된다.
다섯째 다 신고 난 뒤 손을 깨끗이 씻고 법답게 가사를 입어라.
39) 사미가 발우를 씻는 데 일곱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발우에 밥이 남아 있으면 함부로 버리지 말라.
둘째 버려야 할 것이면 깨끗한 땅에 버려야 한다.
셋째 비누(澡豆)나 풀잎 등으로 씻어야 한다.
넷째 씻은 발우를 깨끗한 땅이나 사람이 다니는 길 가운데 두지 말라.
다섯째 씻은 발우는 아래에 받침이 있게 하여야 한다.
여섯째 다시 맑은 물로 씻고, 멀리 버릴 때 더러운 것이 다른 사람에게 튀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일곱째 발우 속의 물을 버리고자 할 때는 땅에서 4촌(寸)정도 떨어지게 하고 너무 높거나 낮지 않게 해야 한다.
40) 발우를 닦는 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다시 손을 씻고 닦아서 말려야 한다.
둘째 깨끗한 수건을 무릎 위에 두어야 한다.
셋째 안쪽을 닦아서 말려야 한다.
넷째 손으로 겉을 닦고 난 뒤 다시 안쪽을 닦으면 안된다.
다섯째 발우를 말리고 난 뒤 곧 깨끗한 수건으로 덮어서 발낭에 넣어 안전한 곳에 두어야 한다.
41) 함께 공양할 때
사미가 발우를 지니도록 가르치는 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맨땅에 그냥 두지 마라.
둘째 포개면서 소리가 나지 않게 하라.
셋째 양지(칫솔)를 발우 속에 두지 말라.
넷째 다른 사람이 오면 자리를 주어야 한다. 발우를 다른 사람의 자리 맡에 두지 말라.
다섯째 다른 사람을 따라 가면서 뒤로 발우를 주지 말라. 곧바로 앞을 따라야 하고, 또한 대중 속을 가지 말라. 스승이 공양을 마쳤는지 살펴보고 마땅히 일어나서 발우를 거두고 자리에 돌아온다.
이것이 발우를 가지는 법이다.
42) 스승을 위하여
다른 사람에게 사례를 답하러 갈 때 일곱 가지 일이 있다.
첫째 곧 바로 가야 한다.
둘째 곧 바로 되돌아 와야 한다.
셋째 스승이 하시는 말씀을 잘 알아서 전하고, 다른 사람이 하시는 말씀을 잘 듣고 전해 드려야 한다.
넷째 함부로 지나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볼 일이 다 끝났으면 머물러 유숙하지 말아야 한다.
여섯째 비웃거나 기롱하지 말라(不得調譺).
일곱째 출행할 때는 반드시 위의(法則)가 있게 해야 한다.
43) 사미가 비구승에게 무엇을 공급할 때
마치지 않았으면 함부로 어른 스님(大沙門)의 방에 들어가지 못 한다. 세 가지 일이 있을 때는 들어갈 수 있다.
첫째 화상이나 아사리가 가라고 할 때,
둘째 잡은 게 있어서 빌릴 때,
셋째 가서 경을 물으려고 할 때는 들어갈 수 있다.
44) 방에 들어가고자 할 때 일곱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세 번 문을 두들기고(三彈指)나서 들어갈 수 있다.
둘째 人道를 당하여 서거나 앉을 때 불이나 햇볕을 가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
셋째 다른 일을 함부로 말하지 말라.
넷째 차수를 하고 법답게 말씀을 드려야 한다.
다섯째 앉으라고 할 때 다리를 꼬아서 앉으면 안된다.
여섯째 비웃거나 기롱하지 말라(不得調譺).
일곱째 다른 사람의 앞을 가리지 말라. 방을 나오려고 할 때는 나오려는 방 쪽으로 얼굴을 돌려 뒤로 물러 나와야 한다. 나올 때 등을 보이며 나오면 안된다.
45) 홀로 사미를 멀리 보낼 때
상두(上頭)를 가르치는 데 세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저들이 그대의 화상 이름이 무엇이냐고 물으면 곧 아무개라고 합니다고 대답해야 한다.
둘째 다시 그대 화상은 사문이 된 지 몇 해가 되었는가 라고 물으면 곧 몇 해입니다고 대답해야 한다.
셋째 다시 그대 화상은 어느 곳 분이시냐고 물으면 곧 어느 군현(郡縣)의 분이시라고 대답한다.
설령 다시 그대 아사리의 이름이 무엇이냐고 물으면 곧 아무개라고 대답한다. 다시 그대 아사리는 사문이 된 지 몇 해가 되었느냐고 물으면 곧 몇 해라고 대답한다. 다시 그대 아사리는 어느 곳 사람이냐고 물으면 어느 나라 어느 마을(縣)의 분이라고 대답한다.
만약 다시 현자는 이름이 무엇이냐고 물으면 곧 아무개라고 한다고 대답한다. 다시 그대는 사미가 된 지 얼마나 되었는가고 물으면 곧 몇 년 몇월 몇일 몇시가 되었다고 대답한다. 이것이 화상과 아사리를 알고, 또한 스스로 때와 이름과 해와 일월의 수를 아는 것이라 한다.
46) 목욕탕에 들어가는 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머리를 숙이고 들어가야 한다.
둘째 들어가서는 반드시 어른(上座)의 자리를 피하여야 한다.
셋째 상좌가 경을 읽을 때 함부로 말하면 안된다.
넷째 서로 물을 뿌리며 장난을 치면 안된다.
다섯째 물을 뿌려 불을 끄면 안된다.
47) 다시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비웃거나 기롱하지 말라.
둘째 물독이나 항아리를 깨면 안된다.
셋째 물을 너무 낭비 하지 말라.
넷째 탕의 물 속에 비누(澡豆)나 마유(麻油) 등을 넣지 말라.
다섯째 목욕이 끝나면 바로 나오고, 안에서 옷을 빨지 말라.
48) 사미가 변소(舍後)에 가는 데 열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대소변을 하고자 할 때는 곧 가야 한다.
둘째 갈 때에는 좌우로 두리번거리며 돌아 보지 말라.
셋째 변소에 가서는 세 번 손을 튕긴다.
넷째 안에 있는 사람을 빨리 나오라고 재촉하면 안된다.
다섯째 들어가고 나서 다시 세 번 손을 튕긴다.
여섯째 큰소리로 힘을 쓰(大咽)면 안된다.
일곱째 머리를 숙여 으쓱한 데를 보면 안된다.
여덟째 재(灰)나 흙 위에 낙서하거나 장난치면 안된다.
아홉째 물을 벽에 뿌리면 안된다.
열째 용변을 보고 난 뒤에 손을 씻지 않고서는 물건을 만지지 말라.
49) 다시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앉아서 앞 벽에 가래침을 뱉지 말라.
둘째 좌우로 내다보지 말라.
셋째 풀 등으로 벽에 낙서하지 말라.
넷째 불을 가지고 땅이나 벽을 태우거나 거을리지 말라.
다섯째 너무 오래 변소에 머물지 말라. 내려오고 난 뒤 설령 다른 사람을 만나더라도 인사를 하지 말고 길을 비껴서 가라.사미위의의 법식을 말하는 것을 마친다.
사미72위의에 모두 열 네 가지 일이 있다.
1) 스승과 더불어 말씀을 나누는 데 두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말대꾸를 하면 안된다.
둘째 자기 주장만 하면 안된다.2) 사미가 스승에게 예를 올리는 데 열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스승의 머리맡에 그릇이 있으면 예를 올리지 않는다.
둘째 스승이 좌선을 하고 있으면 예를 올리지 않는다.
셋째 스승이 경행을 하고 있으면 예를 올리지 않는다.
넷째 스승이 공양을 드시고 계시면 예를 올리지 않는다.
다섯째 스승이 경을 말씀하고 계시면 예를 올리지 않는다.
여섯째 스승과 서로 만나게 되면 왼쪽에서 예를 올리지 않는다.
일곱째 스승이 양치를 하고 계시면 예를 올리지 않는다.
여덟째 방에 들어가서 예를 올리려면 먼저 손가락을 세 번 튕겨야 한다. 스승이 응답이 없으면 물러가야 한다.
아홉째 스승으로부터 일곱 걸음을 떨어져서는 안된다.
열째 스승이 문을 열면 예를 올려야 한다.
3) 일찍 일어나서 방에 들어가는 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옷을 정리해야 한다.
둘째 그릇을 내 가야 한다.
셋째 소지를 해야 한다.
넷째 경의 말씀을 여쭙는다.
다섯째 필요한 물건을 드린다.
4) 삼의를 접는 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앞에서 하면 안된다.
둘째 왼쪽에서 해야 한다.
셋째 옷의 안과 겉을 알 수 있게 해야 한다.
넷째 뒤집어 접으면 안된다.
다섯째 항상 놓아 두는 곳에 두어야 한다.
5) 스승을 따라 가는 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집집마다 찾아다니면 안된다.
둘째 길에 서서 다른 사람과 함께 이야기하면 안된다.
셋째 좌우로 두리번거리며 다니면 안된다.
넷째 머리를 숙이고 스승의 뒤를 따라 가야 한다.
다섯째 단월의 집에 가면 한 쪽 측면에 서서 스승이 앉으라고 하면 앉는다.
6) 스승이 필요한 것을 공급해 드리는 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칫솔을 드려야 한다.
둘째 비누(澡豆)를 드려야 한다.
셋째 하룻밤 지난 묵은 물을 드리면 안된다.
넷째 다시 물을 길어와서 드려야 한다.
다섯째 수건을 사용한 것은 깨끗이 씻어 두어야 한다.
7) 사미가 씻는 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탑을 향해서 씻으면 안된다.
둘째 화상을 향해서 씻으면 안된다.
셋째 아사리를 향해서 씻으면 안된다.
넷째 가린 곳(屛處)에서 해야 한다.
다섯째 자기가 물을 가져와야 한다. 다른 사람이 길어 놓은 물을 가져오면 안된다.
8) 저녁에 방에 들어 가는 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침상을 소제하여야 한다.
둘째 옷을 정돈하여야 한다.
셋째 그릇을 들여놓아야 한다.
넷째 등불을 켜야 한다.
다섯째 잠자러 가라고 하면 마땅히 물러간다. 나가면 돌아서서 문을 닫아 드린다.
9) 사미가 스승으로부터 경을 받는 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옷을 정돈한다.
둘째 차수를 하고 예를 드린다.
셋째 나아가고 물러섬을 마음대로 하면 안된다.
넷째 두 발을 가지런히 모아야 한다.
다섯째 공손하게 몸을 약간 굽혀야 한다.
10) 사미가 스승에게서 삼의를 드리는 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손을 깨끗이 씻어야 한다.
둘째 안타위(安陀衛;安陀會)를 드린다.
셋째 울다라승을 드린다.
넷째 승가리를 드린다.
다섯째 수건을 드린다.
11) 사미가 발우를 씻는 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소똥의 재를 얻어야 한다.
둘째 비누(澡豆)를 얻어야 한다.
셋째 땅에서 7寸정도 떨어지게 해야 한다.
넷째 소리리가 나지 않게 해야 한다. 세 번 물을 바꾸어 헹구어내고, 물을 버리려고 할 때는 땅에 뿌리지 말라.
다섯째 잘 말리어야 한다.
12) 사미가 소지를 하는 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스승을 등지고 하면 안된다.
둘째 거슬러서 쓸면 안된다.
셋째 깨끗이 해야 한다.
넷째 자국이 남게 해서는 안된다.
다섯째 쓰레기는 바로 내다 버려야 한다.
13) 사미가 스승을 따라 단월의 집에 갔을 때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발우를 가지고 가야 한다.
둘째 수건을 가지고 가야 한다.
셋째 문을 두들겨야 한다.(當搏戶)
넷째 단월의 집에 도착하여 깨끗한 물을 찾아 발우를 씻어야 한다.
다섯째 스승이 앉으면 수건과 발우를 건네 드리고, 되돌아와서 자기의 자리에 앉는다.
14) 사미가 욕실에 들어가는 데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스승보다 먼저 들어가면 안된다.
둘째 상좌 앞에 앉으면 안된다.
셋째 스승이 아직 물을 쓰지 않으시면 움직이지 말라.
넷째 등을 닦고자 하면 먼저 해 드린다.
다섯째 목욕이 끝나면 먼저 나와서 옷을 입는다.
15) 사미가 예절위의 또는 아침 저녁으로 문신과
예경하는 데 열 세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일찍 일어나서 양치하고 씻어야 한다.
둘째 의복을 정돈해야 한다.
셋째 일어나서 문신해야 한다.
넷째 스승이 안에 계셔서 나아가고자 하면 먼저 머리에 쓰고 있는 것이나 발에 신고 있는 것을 벗어야 한다.
다섯째 스승의 그림자를 밟으면 안된다.
여섯째 밖에 서 있을 때는 손가락을 세 번 튕겨서 앞에서 부르시면 안으로 들어가도록 한다.
일곱째 머리를 땅에 대고 예를 올려야 한다.
여덟째 앉으라고 말씀하시면 세 번 사양하고 앉는다.
아홉째 앉을 때는 단정해야 한다.
열째 물으시는 게 있으면 곧 대답을 하고 소리를 분명하게 해야 한다.
열한째 묻지 안으시면 가만히 있어야 한다.
열두째 일을 마치면 처음과 같이 계수(稽首)하고 물러 나온다.
열세째 방을 나왔을 때 몸을 돌려 가는 방향으로 돌아간다.
16) 사미가 스승의 조관(澡罐)을 가지는 데 열 다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병을 깨끗이 씻어야 한다.
둘째 언제나 있는 곳에 두어야 한다.
셋째 그릇에 깨끗한 물을 가득 채워두워야 한다.
넷째 물을 묵혀두면 안된다.
다섯째 미리 양지를 갖추어 두어야 한다.
여섯째 양지를 할 때는 법답게 해야 한다.
일곱째 씻는 병은 무릎에서 한 자(一尺) 정도 떨어지게 해야 한다.
여덟째 씻는 병을 잡을 때는 왼손으로 윗쪽을 잡고 오른손으로 받쳐야 한다.
아홉째 물을 부을 때는 양을 알맞게 조절하여야 한다.
열째 소리가 나지 않게 해야 한다.
열한째 수건은 반드시 항상 두는 곳에 있어야 한다.
열두째 수건을 가질 때는 왼쪽으로 수건을 집고 오른쪽으로 스승에게 드려야 한다.
열세째 부정한 것을 버릴 때 항상 버리는 곳에 두어야 한다.
열네째 깨끗한 땅에 뿌리지 말라.
열다섯째 수건을 사용하고 나서는 다시 항상 두는 곳에 걸어 놓아야 한다.
17) 물 뿌리고 침상을 털고 닦는 데 여덟 가지 일이 있다.
첫째 항상 어른쪽을 향하도록 한다.
둘째 등지고 하면 안된다.
셋째 땅에 물을 뿌릴 때 물의 다소를 헤아려 가볍게 뿌려야 한다.
넷째 쓸어 내는 쓰레받기(糞箕)를 사용할 때는 자기쪽을 향하도록 한다.
다섯째 쓰레기는 항상 정해진 곳에 버리도록 한다.
여섯째 침상과 자리를 털고 닦아낸다.
일곱째 이부자리와 옷을 잘 접어 갠다.
여덟째 침상을 쓸고 닦을 때 소리가 나지 않게 한다.
18) 스승의 음식을 가지는 데 열 네 가지 일이 있다.
첫째 깨끗한 수건을 갖추어 둔다.
둘째 음식을 내어 드리려고 할 때(進食)는 모두 두 손으로 받들어 드리고 내린다.
셋째 곧 바로 나아간다.
넷째 꿇어앉아서 스승에게 드린다.
다섯째 길 가운데서 다른 사람과 웃거나 말하면 안된다.
여섯째 음식을 내어 드릴 때 소리가 나게 하면 안된다.
일곱째 내어 드리는 음식은 차고 더움이 적당하도록 해야 한다.
여덟째 숟가락과 젖가락은 깨끗하게 해야 한다.
아홉째 더하는 것(行益)이 있으면 반드시 고르고 균등하게 해야 한다.
열째 머물 때는 항상 있어야 하는 곳에 있어야 한다.
열한째 단정해야 한다.
열두째 공양이 끝나면 천천히 그릇을 거두어야 한다.
열세째 차례에 따라 들어야 한다.
열네째 그릇을 씻고 물을 뿌릴 때 상법(常法) 대로 해야 한다.
19) 법의와 신을 취하는 방법에 열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왼쪽으로 윗쪽을 잡고 오른쪽으로 아래를 잡는다.
둘째 꿇어앉아서 스승에게 드린다.
셋째 가사를 접어서 갤 때 입으로 물면 안된다.
넷째 소리나게 털면 안된다.
다섯째 다시 늘 있는 곳에 두어야 한다.
여섯째 수건으로 위를 덮어야 한다.
일곱째 신을 가져오면 먼저 잘 털어야 한다.
여덟째 털 때 크게 소리 내면 안된다.
아홉째 바닥에 내어놓을 때 단정히 해야 한다.
열째 돌아오시면 항상 두는 곳에 다시 두어야 한다.
20) 발우(應器)와 물병(澡甁)을 취하는 데 여덟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먼저 잘 닦아서 깨끗하게 한다.
둘째 두 손으로 받들어 내린다.
셋째 꿇어앉아서 스승의 발우를 잡는다.
넷째 비누(皁莢)이나 콩의 가루로 씻는다.
다섯째 씻고나면 손으로 들고 말린다.
여섯째 급한 일이 있으면 갔다가 햇볕에 말려도 된다.
일곱째 혹은 불에 쪼여 말린다.
여덟째 다 말리고 나면 항상 두는 곳에 다시 두어야 한다.
21) 석장(錫杖)을 취하는 데 일곱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잘 털고 닦아서 깨끗하게 한다.
둘째 땅에 꽂아두면 안된다.
셋째 손으로 흉내내면 안된다.(不得以有所指擬)
넷째 소리가 나지 않게 해야 한다.
다섯째 두 손으로 받들어 드린다.
여섯째 꿇어앉아서 스승에게 드린다.
일곱째 끝나면 항상 두는 곳에 다시 두어야 한다.
22) 스승을 모시고 목욕이나 삭발을 하거나
아침에 법의를 입을 때 열 두 가지 일이 있다.
첫째 하는 일들은 공경스럽게 해야 한다.
둘째 차고 더운 때를 따라야 한다.
셋째 욕실을 닦아낸다.
넷째 깨끗한 더운 물을 갖추어 둔다.
다섯째 먼저 조협 · 조두 · 마유 등을 갖추어 둔다.
여섯째 미리 깨끗한 수건을 챙겨둔다.
일곱째 추우면 화롯불을 준비한다.
여덟째 다른 사람이 들어오지 않도록 단정하게 밖에 서 있는다.
아홉째 삭발을 하면 머리카락을 반드시 정해진 곳에 버려야 한다.
열째 법의를 햇볕에 쬐일 때는 마르기를 기다려야 한다.
열한째 급한 일로 갈 때는 잘 맡겨두어야 한다. 잊어버리고 가면 안된다.
열두째 일이 끝나면 항상 두는 곳에 다시 두어야 한다.
23) 향을 가지거나 꽃을 드리는 데 일곱 가지 일이 있다.
첫째 향로를 깨끗이 닦아야 한다.
둘째 묵은 꽃은 버린다.
셋째 불의 많고 적음을 잘 헤아린다.
넷째 향화를 드릴 때 상좌부터 시작한다.
다섯째 향을 드릴 때 손이 서로 5寸정도 떨어지게 한다.
여섯째 향로를 잡을 때 자기가 먼저 냄새를 맡으면 안된다.
일곱째 일이 끝나면 항상 두는 곳에 다시 두어야 한다.
24) 등불을 켜는 데 여덟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묵은 심지를 제거해야 한다.
둘째 등 심지를 잘 빗고 씻어서 깨끗하게 해야 한다.
셋째 기름이 적당하도록 잘 조절하여야 한다.
넷째 깨끗한 심지를 구해두어야 한다.
다섯째 끝나려고 하지 않을 때 자주 가서 보태어 주어야 한다.
여섯째 아침 일찍 일어나서 잘 살펴보아야 한다.
일곱째 기름이 아직 다하지 않았으면 남은 심지를 들어내어 다른 곳에 모아서 다 태우도록 한다.(油未盡當扶出餘炷聚著倚處別然令盡)
여덟째 일이 끝나면 천천히 본래의 장소에 다시 두어야 한다.
25) 꽃을 따거나 양지를 취하는 데 아홉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주인이 있는 것이면 그 주인에게 묻는다.
둘째 주인이 없는 것이면 산택수신(山澤樹神)에게 주원(呪願)을 한다.
셋째 꽃이나 양지를 취할 때 그 뿌리까지 뽑으면 안된다.
넷째 길로 해서 곧바로 갔다와야 한다.
다섯째 게으름을 피우거나 장난치면 안된다.
여섯째 설령 사람으로 해서 범하게 되더라도 다른 사람과 더불어 서로 오가는 것(交通)을 삼가야 한다.
일곱째 머리를 숙이고 안으로 스스로에게 엄격히 책려하며, 다른 이를 원망하는 마음을 갖지 말라.
여덟째 꽃을 드릴 때는 상좌부터 시작한다.
아홉째 시들은 꽃은 버린다.
26) 여러 가지 시행하는 바를
마음대로 하지 못하는 것에 열 여덟 가지 일이 있다.
첫째 가고 오는 출입에 먼저 스승에게 여쭈어야 한다.
둘째 자고 가려고 하면(宿行) 먼저 스승에게 여쭈어야 한다.
셋째 법의를 새로 만들려고 하면 먼저 스승에게 여쭈어야 한다.
넷째 새 법의를 입으려고 하면 먼저 스승에게 여쭙고 받아야 한다.
다섯째 법의를 빨려고 하면 먼저 스승에게 여쭙는다.
여섯째 삭발을 할려면 먼저 스승에게 여쭙는다.
일곱째 병이 있어 약을 복용할려고 하면 먼저 스승에게 여쭙는다.
여덟째 대중스님네와 일을 하려고 하면 먼저 스승에게 여쭙고 간다.
아홉째 사사로이 지필 등을 갖추려고 하면 먼저 스승에게 여쭙는다.
열째 경을 소리내어 읽으려고 하면 먼저 스승에게 여쭙는다.
열한째 다른 사람에게 물건을 베풀어 주려고 하면 먼저 스승에게 여쭙고 난 뒤에 받는다.
열두째 이미 물건을 베풀어 주었으면 먼저 스승에게 여쭙고, 스승이 허락한 뒤에 주어야 한다.
열세째 다른 사람으로부터 이미 빌렸으면 하나하나 먼저 스승에게 여쭙고, 스승이 허락한 뒤에 주어야 한다.
열네째 다른 사람으로부터 빌리고자 하면 모두 스승에게 여쭙고 스승이 허락하면 갈 수 있다.
열다섯째 여쭈어 보려고 하면 먼저 옷매무새를 정돈하고 머리 조아려 예를 한다.
열여섯째 허락하시거나 허락하시지 않거나 모두 공경히 머리 조아려 예를 올린다.
열일곱째 알고자 하는 바를 모두 다 말씀 드린다.
열여덟째 어떤 대답이 있더라도 원망하는 마음을 품으면 안된다.
27) 스승을 따라 갔다가
먼저나 나중에 돌아 오는 데 열여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옷을 정돈한다.
둘째 말씀하시는 바를 잘 알아 대답을 하고, 석장이나 수건 등을 가지고 따른다.
셋째 스승의 뒤쪽을 따른다.
넷째 스승의 그림자를 밟지 않는다.
다섯째 앞에 가면서 석장을 가지고 장난치면 안된다.
여섯째 길을 가는 도중에 다른 사람과 이야기 하면 안된다.
일곱째 스승이 허물이 있어도 비방하면 안된다.
여덟째 스승이 만약 가지고 가야할 것이 있어서 돌려 보내면 그 오는 길을 잘 찾아야 한다.
아홉째 곧 함께 가야 한다.(卽當如共敎行)
열째 오래 머무르면 안된다.
열한째 스승이 단월을 위해 경을 말씀하시고 계시면 곧 계수하며 절도있게 받들어 받아야 한다.
열두째 저물게 되면 빨리 돌아와야 한다.
열세째 단월의 집에 유숙하면 안된다.
열네째 돌아오면 인사를 드리고 다른 일을 여쭙고 의복을 정돈한다.
열다섯째 오체투지로 머리 조아려 예를 올린다.
열여섯째 스승에게 예를 올리고 난 뒤 다른 일을 평소와 같이 한다.(禮師自如常法)
28) 혼자서 장례식에 가거나
병 문안을 가는 데 아홉 가지 일이 있다.
첫째 주인의 문에서 나아가고 물러서는 위의에 다른 자리가 있으면 앉고, 설령 다른 자리가 없으면 섞여서 앉으면 안된다.
둘째 그 자리가 보이면 바로 앉지 말고 단정히 꿇어앉아야 한다.(當視其座席無犯宜跪端座)
셋째 사람들이 경을 물으면 마땅히 때를 알아서 말해야 한다.
넷째 삼가 때 아닌 설법을 하지 않아야 한다.
다섯째 주인이 음식을 내오면 비록 때 아닌 법회의 음식이라도 그 위의의식(儀軌)을 잃지 않도록 해야 한다.
여섯째 때에 맞게 되돌아 와야 한다.
일곱째 밤에 다니면 안된다.
여덟째 만약 저녁에 촉박하고 비바람이 심할 때는 편의에 따라 마땅하게 해야 한다.
아홉째 끝나고 나면 종전과 같이 한다.
29) 도로에서 스승과 서로 만나게 되면 여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먼저 의복을 정돈한다.
둘째 가죽신을 벗는다.
셋째 스승에게 예를 올릴 때 발 아래에 머리를 조아린다.
넷째 몸은 스승의 뒤를 따른다.
다섯째 스승이 만약 스스로 따로 가시면 머리를 조아려 인사하고 절도 있게 받든다.
여섯째 비록 스승과 더불어 서로 따르지 않더라도 행하는 예절은 반드시 평소와 같이 해야 한다.
30) 대중이 밥을 먹는 데 열여섯 가지 일이 있다.
첫째 건추(揵椎)의 소리를 들으면 곧 의복을 정돈한다.
둘째 탑 아래에 가서는 가죽신을 벗는다.
셋째 머물 때는 반드시 단정하고 엄숙해야 한다.
넷째 스승의 뒤를 따르면서 머무는 곳에 다달으면 죄미치는 것이 있더라도 웃으면서 말하면 안된다.(若從師後到便位住愼勿言笑有所及)
다섯째 상인(上人)이 경을 설하거나 축원을 할 때 모두 공경하고 위의를 잃지 않도록 해야 한다.
여섯째 처음 먹기 시작할 때 먼저 위아래를 우러러 살펴보아야 한다.
일곱째 음식이 대중 앞에 없으면 대중의 뒤에 먹지 않는다.(食無衆人前食止無後衆)
여덟째 음식의 좋고 나쁨을 말하면 안된다.
아홉째 너무 많이 먹거나 적게 먹으면 안된다.
열째 너무 크게 뭉쳐서 삼키면 안된다.
열한째 발우 안에 어지럽게 비비면 안된다.(不得大撓刮鉢中)
열두째 상(案) 위를 젖가락으로 두드리면 안된다.
열세째 먹으면서 더 달라고 하면 안된다.
열네째 음식을 마음대로 개에게 떼어주면 안된다.
열다섯째 행익이 왔을 때 음식이 필요없다고 말하면 안된다.
열여섯째 이미 배가 부르면 손으로 사양하는 뜻을 나타내어야 한다.
31) 대중이 설경(說經)하는 데 열 세 가지 일이 있다.
만약 법회에서 경을 설할 때 온실(溫室)이나 청량실(淸凉室) 또는 욕실(浴室)에 있으면
첫째 의복을 정리한다.
둘째 심상하게 바라보며 바로 나아간다.
셋째 가는 도중에 다른 사람들과 웃으며 말하면 안된다.
넷째 순서에 따라 어른에게 예를 올린다.
다섯째 물러나서 자리에 들어간다.
여섯째 상좌가 경을 설하면 곧 자리에 앉는다.
일곱째 앉을 때는 반드시 단정하고 엄숙해야 한다.
여덟째 소란스럽게 이야기하면 안된다.
아홉째 큰소리로 기침하거나 가래침 뱉으면 안된다.
열째 예율(禮律)을 어기거나 깨끗한 곳에 침 뱉지 말라.
열한째 경을 설할 차례가 되면 곧 설하여야 한다.
열두째 대중에서 차출되어 높은 자리에 오르게 되면 먼저 행동거지를 자세히 살펴서 위의를 잃지 않도록 해야 한다.
열세째 만약 앉아 있는 가운데 위의를 잃음이 있으면 나쁜 것은 막고 좋은 것은 드러내어야 하며, 굳이 허물을 드러내지 않도록 해야 한다.
32) 다시 대중이 설경하는 데 열 세 가지 일이 있다.
만약 아침 저녁 행례(行禮)의 당번 차례가 되면
첫째 건치(揵椎)의 소리를 들으면 미리 향화(香火)를 갖춘다.
둘째 향을 건네 주는 것은 앞에서 말한 바와 같다.
셋째 차례에 맞게 정리한다.
넷째 상석(牀席)을 깨끗이 털고 닦는다.
다섯째 물뿌리고 소지하는 것을 여법하게 한다.
여섯째 만약 법회를 마치고 나가면 분명히 받아서 단월이 모든 것을 사용하게 건네어 준다.
일곱째 일이 끝나서 다 받았으면 처음과 같이 하게 한다.
여덟째 문의 열쇠는 서로 건네어 아침 저녁 열고 닫는 것이 한결같이 심상하도록 해야 한다.(門鑰相付朝關晩開一以爲常)
아홉째 다른 객이 있으면 스승 주변에서 필요한 것을 듣고 건네 드려야 한다.
열째 객이 머물고 있으면 의복을 정돈하고 그 위치에 항상 머물러 있어야 한다.
열한째 물으시는 것이 있으면 곧 바로 대답을 하고 소리를 분명하게 해야 한다.
열두째 머물고 있을 때는 반드시 단정하고 엄숙해야 하며 위의를 잃으면 안된다.
열세째 만약 볼일이 있어 잠시 자리를 비우게 되면 다른 이를 자신의 임무를 대신하게 부탁을하여, 빈 곳에 거듭 부르게 하지 말라.(若欲暫出輒者令人自代無令處空重呼).
33) 당직날(直日) 영지(領知)한 뒤에 열 가지
만약 직일이 되면 본보기에 여러 가지 것의 방법이 있는대로 처리한다.(若爲直日儀軌所修其有衆事功夫)
첫째 탑을 일으킨다.
둘째 강당에 스님네게 여러 가지 일을 시설한다.
셋째 만일 불상을 만들면 항상 일찍 일어나서 일을 살펴 안다.(若作佛像常早起憂識事)
넷째 숫돌·도끼·톱 등을 필요에 따라 알맞게 사용하고 난 뒤 반드시 본래의 자리에 갖다두어야 한다.
다섯째 그리는 물감이나 아교 먹(墨) 등을 얻을 수 있는 대로 미리 갖추어 두어 때에 임하여 모자라지 않도록 한다.
여섯째 끝나고 난 뒤 항상 있던 곳에 다시 모아두어야 한다. [경본에 원래 일곱 번째가 없다.]
여덟째 영수하는 것을 잘 헤아려 분명하게 하고, 건네 줄 때 차질이 없도록 한다.
아홉째 저자에서 구하고자 하는 것이 있으면 모두 마마제(摩摩帝 vihāra-svāmin;寺主·知事)에게 묻는다.
열째 사용하고 난 나머지는 잘 진열하여 본말(本末)이 있도록 한다.
34) 혼자서 분위(分衛 piṇḍapāka;托鉢·乞食)를 가는 데
열여섯 가지 일이 있다.
만약 분위를 가면 첫째 다른 사람과 함께 가도록 힘쓴다.
둘째 함께 갈 사람이 없으면 마땅히 가는 곳을 알 수 있게 해야 한다.
셋째 발우(應器)는 항상 왼쪽 옆구리 쪽으로 든다.
넷째 발우를 알맞게 띠를 두르고, 나갈 때는 밖을 향하도록 한다.
다섯째 되돌아 와서 먹을 때는 안쪽으로 향하도록 한다.
여섯째 다른 사람의 문에 다달으면 집안의 정황을 잘 살펴야 한다.
일곱째 집에 남자가 없으면 문안으로 들어가지 말라.
여덟째 앉으려고 하면 먼저 자리를 잘 살펴야 한다.
아홉째 자리에 칼 등의 무기류가 있으면 앉지 말라.
열째 자리에 보석류가 있으면 앉지 말라.
열한째 설령 여인의 옷이나 장신구 등이 있으면 앉지 말라. 이런 것이 전혀 없으면 앉아라.
열두째 주인이 음식을 베풀면, 열
세째 먹는 이는 곧 주원(呪願)을 해야 한다.
열네째 음식의 좋고 나쁨을 물으면 안된다.
열다섯째 음식을 먹기 전에 경을 설하지 말라.
열여섯째 비록 경을 설하고자 해도 설할 때인지 아닌지를 잘 알아야 한다.
35) 저자에서 구하는 것이 있을 때 아홉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머리를 숙이고 바로 갔다가 바로 돌아와야 한다.
둘째 별다른 것을 보더라도 자세히 살피지 말라.
셋째 귀하고 천함을 다투지 말라.
넷째 여주인의 가게에 앉지 말라.
다섯째 만약 다른 사람으로 해서 범하게 되면 방편으로 그곳을 피하고, 바로 가서 구하지 말라.(若爲人所犯方便避之, 勿從求直)
여섯째 賣買若於誠諦送直無言來取致及反覆.
일곱째 이미 모갑의 물건을 사기로 허락하였으면 비록 다시 천하게 보이더라도 이것을 버리고 저것을 취하여 주인의 원망을 사지 않도록 해야 한다.
여덟째 만약 네 무리의 사람들이 매매하는 것을 보면 바로 머물지 말고, 법이 그렇지 않다고 말하여야 한다.
아홉째 지나치게 짊어져서 보임(保任)이 없게 하면 안된다.
36) 비구니 절에 가면 아홉 가지 일이 있다.
스승이 만약 비구니 절에 가게 하면 첫째 함께 간다.
둘째 탑을 돌며 예를 올리는 것은 평소의 법식과 같다.
셋째 다른 자리가 있으면 앉고 다른 자리가 없으면 앉지 않는다.
넷째 질병이 있어 경을 묻고자 하면 마땅한 바의 말을 하도록 한다.
다섯째 때 아닌 설법을 하지 말라.
여섯째 다른 사람의 잘못을 뒤집지 말라.
일곱째 만약 앉아서 귀하고 특이한 옷이나 수건이나 신을 베풀어 주면 하나라도 받으면 안된다.
여덟째 되돌아 와서는 그들의 좋고 나쁨을 말해서는 안된다.
아홉째 다른 사람에게 단지 누가 공양을 했다고 말하면 안된다.
37) 경을 강하거나 외우는 데 여덟 가지 일이 있다.
첫째 반드시 소견의 부동이나 혹은 좌우에 각각 익히는 것이 있는지를 자세히 살펴야 한다.(必令詳審所見不同或左右各有所習)
둘째 온전히 알지 못하면 이것이 옳고 저것이 그르다고 말하지 말라.
셋째 동학이 서로 다투면 화해하게 하고, 나에게 치우치게 하지 말라.
넷째 여러 가지 일을 할 때 자신의 공을 스스로 드러내거나 자랑하지 말라.
다섯째 대사문(大沙門)이 계를 설하시면 그것을 엿보지 말라.
여섯째 자기에게 허물이 있는 줄 알면 대중에게 참회와 함께 화해의 말을 해야 한다.
일곱째 스승이 만약 아무개가 그대에게 허물이 있다고 말한다고 물으시면 곧 그것을 사실대로 말씀 드려야 한다.
여덟째 은폐하여 허물을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38) 논하여 말하는 데 열 가지 일이 있다.
항상 밤낮 세 때에 경 외우고 행도(行道)하는 데 첫째 의복을 정돈한다.
둘째 경행(經行)은 반드시 평소에 하던 곳이어야 한다.
셋째 항상 가운데에서 한다.
넷째 강당이나
다섯째 탑 아래에서나,
여섯째 식당에서,
일곱째 가죽신은 신지 말라.
여덟째 나막신을 신지 말라.
아홉째 석장을 가지고 들어가지 말라.
열째 누워서 송경을 하지 말라.
39) 외우면서 경행하는 데 열 가지 일이 있다.
방 안에서 상법대로 경행을 하되,
첫째 침식이 각각 다르므로 서로 섭입(涉入)하지 않도록 한다.
둘째 경을 받아 읽거나,
셋째 경의 뜻을 논하거나,
넷째 질병에 문신(問訊)하거나,
다섯째 방편으로 가거나,
여섯째 위급한 일이 아니면 말하지 말라.
일곱째 다른 사람의 잘못을 드러내지 말라.
여덟째 서로 돌아가며 평론하지 말라.
아홉째 취하거나 나누어 줄 때 반드시 분명하게 해야 한다.
열째 기약을 어겨 신용을 잃지 않도록 해야 한다.
사미십계법병위의 끝.
356개의 댓글
年間で最高500万円まで補償してもらうことができ、保険料にプラスして年1,030円、月90円支払うことで付与することが可能です。刑事課一係とは別行動をとっているが霜月と何らかの取引を交わしていることが彼女との会話で示され、場合によっては事件に介入すると告げた。皮膚病や外耳炎といった日常でなりやすい疾患は、治療が長引き何度も通院する可能性があります。 そんな時でも回数制限を気にせずに治療することができるため、完治までしっかり通院することができます。日本ペット少額短期保険「いぬとねこの保険」の年間の補償限度額はそれぞれ、「プラチナプラン」「ゴールドプラン」の50%プランでは50万円、70%プランでは70万円、90%プランでは90万円となっており、「パールプラン」では30万円となっています。日本ペット少額短期保険「いぬとねこの保険」では補償対象外の項目は以下のようになっています。
クトゥルフ配下の無名都市の生物への対策、および風属性のイタカへの防御。 しかし、市町村で始まったホームヘルプサービスなどは支援費制度とまったく同じしくみで行われています。保険料が安くなるからと免責金額を高額に設定していると、事故の際に思わぬ出費が発生することも。 スウェーデンの付加価値税がデンマークよりもC効率性は低い理由には、 軽減税率と消費者を顧客とする小売・
自身の曲を日本語、中国語、英語で熱唱し会場を沸かせた。英語は苦手。元々の英語名はAlanであったが、日本でTRFのSAMのダンスレッスンを受けたとき「祥(しょう)」と呼ばれていたことや、「魅せる」と言う意味との掛け言葉でShowに変更した。買い物が趣味で、自宅に靴は3000足以上ある。後述する絶版メニュー「半玉焼鳥つくね丼」の事実上の後継メニューにあたる。終演後の観客の声援に応えたアンコールを含め、2時間の公演だった。 しかも近年、戦前までの規範意識が崩れた戦後世代が要介護化したためか、介護の場(医療でも)利用者からのセクハラや暴力が日常茶飯事だ。
意識が戻ってからも全身に力が入らず、ベッドに座る事さえも出来ない状態、当然歩く事も食事をする事も一人では全く出来ない、それでも約1カ月の入院でほぼ普通に近い状態まで回復し退院する事が出来、主治医からは「お酒は程々に」と指導を受け元の日常生活に戻りおとなしくしているのも束の間、年末年始を迎え宴席へ出る機会が有り再飲酒し又、日常的に飲酒する様になり、月日が流れこの時期を迎え以前と同様、薬をビールで流し込む服用の仕方をして今回は今、目の前で起こっている事は、現実なのか、夢なのか幻覚なのかの判断がつかない程の幻聴幻覚に襲われる日々を過ごし、時には意識を失い床に倒れている所を知人に発見してもらい救急搬送され、飲酒が原因との事で点滴後帰宅し、又ビールを吐き出しながら飲み続け、見兼ねた友人が母へ連絡し実家近くの総合病院へ知人の医師を介して入院、その時の記憶も無く意識が戻った時は一度目の入院と同様無残な姿になっていました。
団長であるエレクに猛烈に心酔しており、半ば忠誠心とは別の感情を抱いている。 エレクの静養に付き合ったバリアシオンに嫉妬の感情を抱く。 12月22日
– 旧協栄生命時代に販売した成人病特約の積立金支払いシステムに不備があったことを公表。 ぐでたまふぇすてぃばる –
サンリオピューロランド、2016年12月29日閲覧。 その性癖自体はヒメも許容したものの、初夜の際に(ウルガ教団の策略により)鼻毛が出ていたせいでヒメにタコ殴りにされ、婚約は破談となってしまう。 なお、和彦が愛に婚約破棄を切り出した際に「君と結婚する資格がない」と語っていたが、公式ホームページの登場人物紹介では「愛自身の夢の実現のため、別れることに」なったと説明されている。
“. アニメイトタイムズ. animateLAB. 2017年1月10日閲覧。 まんたんウェブ. MANTAN. 2017年1月10日閲覧。 サンシャインシティ. 4 June 2020. 2020年6月10日閲覧。 2014年6月25日時点のオリジナルよりアーカイブ。 2013年6月2日閲覧。 2015年4月2日閲覧。 2022年10月25日閲覧。 2014年12月7日閲覧。 2014年3月4日閲覧。 “.
映画『聖闘士星矢 LEGEND of SANCTUARY』. “『峰不二子という女』から2年–アニメ『LUPIN THE III RD 次元大介の墓標』2014年初夏、新宿バルト9にて期間限定で特別上映! “ルパン三世VS名探偵コナン THE MOVIE”.
談話(はなし)の様子で見ると、高柳夫婦は東京の方へ廻つて、江の島、鎌倉あたりを見物して来て、是から飯山へ乗込むといふ寸法らしい。矢張(やはり)東京の方からでも? 』と言ふは世慣(よな)れた坊主の声で、『私(わし)は又、選挙の方が忙しくて、其で地方廻りでも為(し)て居るのかと思つた。上高井の山脈、菅平の高原、其他畳み重なる多くの山々も雪雲に埋没(うづも)れて了(しま)つて、僅かに見えつ隠れつして居た。霙(みぞれ)は絶えず降りそゝいで居た。見まい/\と思ひ乍ら、つい見た。 『恐しい世の中だ』–斯う考へ乍ら、あの夫婦の暗い秘密を自分の身に引比べると、さあ何となく気懸りでならない。
中原師連親子が推測されており、その子孫でこの当時政権の中枢にいた摂津親致や、三善氏の矢野倫景、北条氏では金沢貞顕や北条時村の元から少なくとも史料提供は相当なされていると見られるが、編纂への関与の程度は不明である。 もちろん「ベースとなる筆録」には中原師員・ 「ベースとなる筆録」に上がった二階堂行政、行光、そして出産記事に登場する行盛、行忠の系統・
集英社『週刊少年ジャンプ』公式サイト.
“【特集】海外でも人気! “コロナ禍で「ドーナツ」が人気 ブーム再燃 韓国からも”最新”ドーナツが… “. NIKKEI STYLE. 日本経済新聞社・既存の利用者が通帳レスを希望する場合は、ゆうちょダイレクト上で手続きができる(この場合は、新たな自動貸付や当座貸越は不可となるが、すでに存在する自動貸付や当座貸越を切り替えにあたって解消する必要はない)。 「外部目線が不可欠と考えている」”.
そもそも「子孫世代に金もケアもツケ送りして面倒みてもらう」世代間扶助による社会保障制度は、少子化によりもはや破綻し持続可能性が無い、「痛みある社会保障改革」するしかない。
※1 日本時間の土曜日と日曜日の場合です。 また、平日20:00~翌3:00および休日6:00~翌1:00の売付注文は、売付注文受付後~翌営業日前日のサービス終了時間まで取消が可能です。 ※平日6:00~19:50の売付注文は、売付注文受付後~19:50まで取消が可能です。 「予約」での差入を行った場合、その時点で新規建可能額の算出等に反映されますが、保証金請求額への反映は行われません。 ※ゆうちょ口座への出金取引については、当日出金をご利用いただけません。 その一方でUFJ銀行との合併まで東京都心以外の多くのATMは平日19時・
隼人と武田とは小学校時代からの幼馴染で隼人とは親友だったが、久美子が赴任する1か月前の2学期の終わりに対立が続く荒高の不良たちとの決着をつけるべく5対5の決闘が決まっていたのに、単独で相手に詫び(ケンカにビビり、もうじきの卒業を喜ぶ母を思う武田のため)を入れに行き中止させたのをきっかけで真実を知らず憤慨する隼人と殴り合いになり犬猿の仲となる。多くの外貨建て商品では、通常外貨を買ってから後に売るという取引になるが、外国為替証拠金取引では逆に外貨を売ってから一定期間後に買い戻すことも可能である(いわゆる「売りから入る」取引。石田検校創案の三間飛車の戦法。
しかもこの学校の教育内容水準は男子中等学校よりも低かった。証券とは財産の価値、権利等を証明するものを指します。市内では国道6号や国道355号、茨城県道7号石岡筑西線沿いなどにロードサイドショップ(チェーンストア)が多く出店しており、一定の賑わいを見せている。 ついに、2018年10月6日(土)をもって、築地の場内市場が移転のため、営業終了します。 また、海外にも証券取引所はありますし、海外の証券取引所の値動きが、日本の株式市場に影響を与える場合もあります。
過を悔いて、敬虔に、ロオマへ御寄附なさりませ。 そっくり御寄附なさりませ。相国は引き取りましても、大司祭は残りました。従って、明治政府の成立後に富国強兵が採用されたのは当然の流れであると考えられる。
「遺言」ではすみえと正彦の結婚を全面的に歓迎し、正彦の意向で新居が五郎の作る廃品再利用の家になることに賛成。嘗て、鱒之介が運動会に出る自分たちのために巻物を作っていたことに感動し、旬に教えを請い、巻物を特訓した。
国はすべての障害者の在宅の暮らしを支え、家族の顔色を見ながら施設に入っていく高齢者をなくすことを決意して、そこにきちんと税財源を入れていくという方向づけをすべきだと思います。言語了解や発語の障害(失語症)や不明瞭な言語(構音障害)。次に『史記』を著した「司馬遷」について説明します。上記のゲームボーイカラー版に相当するが、ゲーム内容や登場キャラクターが大きく異なる。 マイカルシステムズ – 富士ソフト(当時は富士ソフトABC)へ2002年(平成14年)に株式譲渡、ヴィンキュラムジャパンとなり、2005年(平成17年)12月にJASDAQ上場。赤子だった彼がモイラ博士に預けられていた時、モイラは息子を失った悲しみからマグニートーに遺伝子操作を施し、彼の精神から悪の心を取り除いた。
任意保険・ もし事故から2週間など空くと、痛みと交通事故の因果関係が認められず、保険会社との交渉が難航する可能性があります。 5)みらい総合法律事務所:交通事故の入通院慰謝料は1日いくら?接骨院を変えたりすると慰謝料が支払われない場合もあるので注意が必要です。 その際、支払われる慰謝料の金額を決める自賠責・